[환경일보] 김경태 기자 = OECD가 한국의 환경성과평가 보고서를 통해 강도 높은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촉구했다. 아울러 국제적으로 중간 수준에 불과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했음에도 현재의 경제구조로는 이를 달성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OECD는 3월16일 프랑스 파리 OECD 본부에서 ‘제3차 한국 환경성과평가 보고서(The 3rd OECD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 2016)’를 발표했다. OECD는 각 회원국에 대해 약 10년 주기로 회원국의 환경정책 수립·이행과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정책권고 사항을 포함한 국가별 검토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997년과 2006년에 이어 이번이 3번째 평가다.

이번 보고서에서 OECD는 “높은 물질회수율(59%, OECD 평균 34%)과 60종 이상의 멸종위기종 복원 등 성과를 거뒀으나 화석연료 위주의 에너지 사용(1차 에너지 총 소비량의 82%) 등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1990년 대비 2013년 2.38배 증가해 OECD 국가 중 터키 다음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특히 한국이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 대비 37%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한데 대해 “국제적으로 비교해보면 평범한 수준의 감축이지만 이는 앞서 설정한 2020년 목표의 연기를 시사하는 것”이라며 “그럼에도 한국의 정책 믹스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한국의 에너지 믹스에서 화석연료는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현재의 에너지 계획에 따르면 석탄이 차지하는 비중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OECD 국가들 중 가장 낮은 수준이며 국가 재생에너지 목표의 중간 목표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OECD는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신규 탄소배출권거래제 강화 ▷에너지세와 전기요금 개혁 ▷재생에너지원 개발 및 에너지 수요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한편 보고서는 한국이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기후변화에 취약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OECD는 강수량 증가와 해수면 상승, 더욱 잦아진 기상이변, 농업 생산량 감소 등 예상되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과 더불어 적응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mindaddy@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