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4468.
▲녹색기후기금(GCF) 한국 유치가 확정되면서 그린트라이앵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사진=김택수 기자>


[환경일보] 김택수 기자 = 녹색기후기금(GCF) 한국 유치가 확정되면서 글로벌 녹색성장을 주도할 국제기구인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와 녹색기술센터(GTC)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전략(GGGI), 기술(GTC), 재원(GCF)으로 구성되는 그린트라이앵글(Green Triangle)이 마련되면서 앞으로 3개 기구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논의하는 ‘그린 트라이앵글의 미래: 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 제언’ 워크숍이 최근 개최됐다.

 

기후변화 대응, 국제협력 필수
 

img_4387

▲외교부 신부남 녹색성장 대사

<사진=김택수 기자>

이날 워크숍에서는 먼저 GGGI-GCF-GTC가 한국의 독자적인 것이 아닌 글로벌 협력을 위한 인류 보편의 자산이라는 점이 논의됐다.


외교통상부 신부남 녹색성장 대사는 “인류 최대의 과제는 기후변화 대응이며 특히 온실가스 감축에서 개도국의 참여가 중요하다”라며 “아이디어를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실천기구들을 통해 개도국의 녹색성장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신 대사는 “GGGI는 전 세계 녹색성장 지원을 비전으로 개도국과 신흥공업국에 국가 및 지역 차원의 녹색성장과 경제개발을 지원하고 GCF는 녹색성장을 위한 재원 마련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전략과 재원만으로는 부족하고 GTC가 기술지원을 맡게 될 것”이라며 “그린트라이앵글은 전략적 목표를 공유하고 공조체제를 통해 글로벌 녹생성장을 지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협업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해야
 

img_4432

▲GGGI 권세중 행정국제기구화 과장

<사진=김택수 기자>

 

국제기구 간의 원활한 업무 협조 역시 강조됐다.

 

GGGI 권세중 행정국제기구화 과장은 “GGGI의 주요역할은 개도국의 저탄소 녹색성장 개발 지원과 기술 공유, 공공·민간부문 간 파트너십 구축”이라며 “앞으로 GGGI와 GCF는 전략과 재원에 대한 배분 기준 연구와 자금배분에 대한 공동연구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권 과장은 “2010년 독일은 370억유로(GDP 1.5%)를 저탄소 경제 전환에 투자했다”라며 “앞으로 GCF는 설립·운영과 관련 독일과 협력체계 구축을 모색하고 GGGI는 공여 회원국 가입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권세중 과장은 GGGI와 GTC의 협력에 대해 “녹색기술정책을 국내와 국제 확산부분을 구분해 각 기관이 공유해야 한다”라며 “국내는 녹색기술 로드맵과 연구개발 시행계획 등을 수립하고 해외는 UNFCCC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해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GCF의 조기 정착 필요

 

녹색기후기금의 현황 및 유치 의의도 논의됐다. 녹색기후기금(GCF)은 지난 2010년 칸쿤에서 열린 제16차 기후변화총회(COP16)에서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지원을 위해 설립하기로 합의됐다.


이후 COP18에서 송도 유치가 최종 결정돼 선진국 15개국, 한국을 포함한 개도국 25개국으로 위원회가 마련됐고 한국은 COP19에서 사업계획, 재원모금계획, 사무국 설치, 신탁기금 선정 등 관련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img_4442
▲기획재정부 신민철 녹색기후팀장

<사진=김택수 기자>

지난 2009년 코펜하겐총회에서는 개도국 재정지원이 가장 큰 이슈로 떠올랐으나 기존의 기후변화 재원(지구환경기금, World Bank 지원, 적응기금 등)은 선진국 위주의 단기적 운영으로 한계점을 노출했다. 이에 따라 코펜하겐총회에서 논의된 장기적 지원방안으로 떠오른 것이 GCF이며 앞으로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재원의 조달과 집행을 맡게 된다.


이와 관련 기획재정부 신민철 녹색기후팀장은 “GGGI-GCF-GTC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해 기관들의 장기적인 시각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GCF의 조기 정착이 중요하다”라며 “앞으로 GCF 유치의 국내 파급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녹색컨설팅, 기술·금융 전문인력 양성 및 인프라를 강화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개도국 눈높이에 맞춰야

 

img_4473.
▲중앙대학교 김정인 교수

<사진=김택수 기자>

또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이정석 연구위원은 “그린트라이앵글의 3개 조직은 모두 한국에 있기 때문에 조직 간 네트워크의 지리적 장점이 있다”라며 “반면 자금, 기술, 전략을 각 기관이 단선적으로 제공한다는 한계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으며 각 기관이 가진 고유의 네트워크를 강화한 후 상호 협조를 통해 최대한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을 때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개도국 눈높이에 맞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김정인 교수는 “그린트라이앵글의 모든 관점은 개도국의 눈높이 접근이 중요하다”라며 “이를 위해 GCF가 해외의 GIB(Green Invest Bank) 제도와 카본 트러스트 펀드 등의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하는 것도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GTC는 개도국을 대상으로 대기업이 아닌 중견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정보를 지원해야 하고 광범위한 내용보다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실용적인 기술을 교육해야 한다”라며 “GGGI 역시 개도국의 시각에서 정책, 펀드, 기술에 초점을 맞춰야 그린트라이앵글이 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kt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