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환경인증제도 사례를 듣기 위해 기업 및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사진=정흥준 기자>  



[코엑스=환경일보] 정흥준 기자 = 환경부는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생기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탄소라벨링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탄소라벨링을 통해 소비자들의 저탄소 제품 구매를 독려하고, 기업의 저탄소 생산을 유도해 선순환을 이끌어내려는 목적이다.

탄소라벨링은 제품의 저탄소화 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생산 공정과 에너지 효율 개선, 저탄소 기술 개발 등을 이끌어내고 있다. 국내 유통 중인 생수 ‘순수’의 경우 경량화와 제조 공정의 개선으로 저탄소인증을 받은 바 있다.

국내 탄소라벨링 정책은 크게 환경마크와 탄소성적표지로 나뉜다. 그 중 탄소성적표지는 다시 3단계의 인증 제도로 마련돼있다.

이행 수준에 따라 ▷탄소배출량 라벨(제품의 전과정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의 양을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해 제품에 표시) ▷저탄소제품 라벨(탄소배출량 인증을 받은 제품 중에서 평균 탄소배출량보다 적은 제품을 인증) ▷탄소중립제품 라벨(저탄소제품 인증을 받은 제품 중에서 외부감축활동으로 온실가스를 모두 상쇄한 제품 인증)을 받을 수 있다.

환경마크는 지난 2015년 기준 161개 제품군에서 약 1만7000개의 제품이 인증을 받았으며, 연 평균 약 3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반면 탄소성적표지는 지난 9월 기준 231개 기업 2124개 제품만이 인증을 받은 상황이다. 또한 3단계인 탄소중립제품 인증을 받은 제품은 14개에 불과해 낮은 제도 적용률을 보이고 있다.

이에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인증 제도의 강화를 모색하기 위해 최근 ‘환경라벨링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독일연방환경청, 독일품질보증표시협회 RAL gGmbH, 미국 샌터바버라 캘리포니아대 등에서 전문가들이 참석해 국제 사례와 환경인증 제도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했다.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력 중요

▲독일연방환경청

  크리스틴 쉬테헤메써 박사

탄소라벨링은 영국, 프랑스, 대만 등 세계 각국에서 시행되고 있다. 특히 독일의 경우 1978년 세계 최초로 환경마크인 ‘블루엔젤’을 도입했다. 블루엔젤은 독일 환경·자연보호·원자력안전부(BMU)에서 소유하고 연방환경청(UBA)에서 대상품목 선정 및 인증기준 설정 등 제도운영에 관한 의사결정을 담당한다.

독일연방환경청 크리스틴 쉬테헤메써 박사는 “제품의 전체 라이프 사이클에 대해 고려하고 있다”며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100개 이상의 환경 및 안전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환경마크 배심원단을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블루엔젤의 인증 과정에는 BMU, 환경마크배심원단, 연방환경청, RAL이 참여해 인증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지난 2014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독일에서 블루엔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EU 에코라벨에 비해 약 9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블루엔젤도 소비자 인식이 92%로 높은데 비해,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37%에 불과하다.

마찬가지로 국내의 환경성적표지 제도에 기업 참여가 저조한 것은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환경성적표지가 미치는 영향력이 적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 관계자는 “여럿으로 나뉜 로고들을 통합로고로 개선하는 등 효과적인 전달 방법을 마련하고 있다”며 “3단계인 인증제도를 2단계로 줄여 기업들의 참여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환경부와 KEITI는 탄소성적표지 인증제품 정보집을 발간하는 등 홍보 활성화에 나섰다. 지난 2013년부터 인증제품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서포터즈를 운영해 온오프라인 홍보를 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에서 탄소인증제가 가지는 인지도는 아직까지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갤럭스 S3~S6의 저탄소인증을 영국 카본트러스트로부터 받았는데,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한국의 인증제도가 EU 등 해외에서 낮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그동안의 소극적 방식으로는 인지도 증진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한국 탄소인증제도는 인지도 개선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적극적 대응을 숙제로 남겨놓은 상황이다.

jhj@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