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이정은 기자 = 환경부(장관 조경규)는 2015년 현재 하수도보급률은 전년 대비 0.4%p 증가한 92.9%라고 밝혔다.

하수처리구역으로 지정돼 공공하수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총 인구수는 전년대비 41만8108명 증가한 4892만5049명으로 집계됐다.

지자체별로 하수도보급률을 살펴보면 서울 등 7곳의 특·광역시는 99.1%, 시지역은 91.2%, 농어촌(군지역)은 67.1%로 각각 나타났다.

농어촌 하수도보급률은 매년 높아지고 있으나, 도시와 농어촌 간의 하수도 보급률의 격차는 여전하다.

전체적으로 하수도 보급률이 높아졌지만 대도시와 농어촌 격차는 여전히 크다.

‘하수의 처리원가 대비 하수도요금(요금현실화율)’의 전국 평균은 전년 대비 1.3%p 증가한 40.4%로 개선됐으나 여전히 낮은 실정이며, 지역에 따라 격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과 대구 지역의 요금현실화율은 각각 82.4%, 73.5%인 반면, 지형적 여건으로 처리원가가 비싼 강원도, 세종 지역의 경우 각각 15.7%, 16%로 저조한 편이다. 전국 하수도 평균 요금은 1㎥ 당 410.9원이다.

2015년 말 전국 625개 공공하수처리시설(500m3/일 이상) 중 586개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고 있으며, 연간하수처리량 70억톤 중 14.7%인 10.3억톤을 재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충청북도 39.6%, 대구광역시 30.1%로 높았으며, 제주도 2.7%, 대전광역시 3.4%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 설치된 하수관로의 설치연장은 13만7193㎞로 합류식관로는 4만4228㎞(32.2%), 분류식 오수관로는 5만4721㎞(39.9%), 분류식 우수관로는 3만8245㎞(27.9%)이다.

전체 13만7193㎞ 중 5만4602㎞(약 39.7%)는 1996년 이전에 설치돼 20년이 경과된 노후관로다.

환경부 이채은 생활하수과장은 “하수관로의 노후화로 발생되는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2016년까지 조사한 노후하수관 정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노후 하수도관을 단계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5년 하수도 통계 전문은 환경부 누리집(www.me.go.kr)을 통해 내려 받을 수 있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