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공단(이사장 변종립)은 지난 15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2014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이연주 기자> 


[그랜드 인터컨티넨날 호텔=환경일보] 이연주 기자 = 에너지 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중국 등 신흥국들의 에너지 수요가 날로 늘어가는 가운데, 기존 선진국들의 경제개발 동력으로 사용된 화석연료로 인해 지구 온난화 및 자원고갈이 심화되고 있고 이로 인해 다음세대가 살아갈 미래 환경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환경적 피해는 최소화한 지속가능한 경제개발을 위해서는 산업의 동력, 생활에너지를 재생 가능한 자연 에너지로 전환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관리할 기술 개발이 필수적으로 꼽힌다.

에너지관리공단(이사장 변종립)은 지난 15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에너지 분야 산·학·연 관계자 8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ICT 융복합 시대의 대한민국 에너지 현주소와 미래 신산업’이라는 주제로 ‘2014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포럼’을 개최했다. 

 

지구온난화·자원고갈…에너지 원 전환 필수

IPEEC 베노아 르보 사무국장은 “인간이 만든 오염요소 중 절반이 화석연료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으로, 변화가 필요하다”며 “수송·건축·신기술·정보통신기술 등의 에너지 효율 정책은 화석연료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구성요소로 에너지 안보, 기후변화 해결, 지속적인 경제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에너지관리공단 변종립 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과 중국의 에너지 사업 투자 확대 등 국제적으로 에너지 패권을 잡으려는 움직임이 가속화 되고 있다”며 “포럼을 통해 창조경제의 출발점인 ICT 융합 에너지 신산업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하는데 도움이 되길 희망 한다”고 전했다.

▲에너지관리공단 변종립 이사장

신기술·정보통신기술(ICT) 등을 신속하게 활용해 사업화하는 에너지 신(新)사업은 미래 에너지 시장을 스마트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 공급자와 소비자 간 정보교환을 통해 에너지효율성을 높이는 스마트그리드, 전기자동차 충전(EVDS), 에너지저장(ESS) 등 에너지 신사업은 기술혁신을 통해 에너지의 저장·공유·관리를 가능하게 만들어 에너지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또한, 에너지 거래를 가능하게 만들어 수익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나라들은 앞 다퉈 스마트 에너지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문재도 제2차관은 “온실가스 감축, 한정적 자원 등 에너지 산업은 현재 도전에 직면했다”며 “에너지의 전달·사용 기술개발을 통해 효율을 높이는 에너지 신산업이 해답으로, 이는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정부 실패 사례 교훈삼고 도약해야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전력망의 건설 지연 및 수도권의 전력포화로 인해 전력수급 자체가 위협을 받는 상황이다.

때문에 에너지 안보 및 생산 분산화를 위해 기술을 통한 효율성 증진이 필요, 지속적으로 ICT 융합 연구개발(R&D)를 추진해왔으나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

▲가천대학교 김창섭 교수

대표적인 예로 지난 정부는 2009년 제주도 구좌읍에 42개월 간 세계 최대·최첨단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를 구축하고 개발기술의 조기 상용화를 도모했으나 정책방향이 확실치 않아 실패로 끝을 맺었다.

실증사업에 참여한 가천대학교 김창섭 교수는 “그동안 스마트그리드 사업은 정치적 개입으로 변질된 게 많다”며 “이제는 제주도에서의 경험을 살려서 스마트그리드 전문분야의 노하우 축적 및 영역간의 소통을 강화하는 등 실질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창조경제를 기반으로 한 박근혜 정부 역시 에너지 신사업 육성에 의지를 보이고 있다.

현재 정부는 ▷전력 수요관리사업(네가와트발전) ▷에너지관리통합서비스사업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사업 ▷태양광 렌탈사업 ▷ 전기차 서비스 및 유료충전사업 ▷화력발전 온배수열 활용사업을 에너지 신사업 비즈니스 모델로 채택하고 적극 육성 중에 있다.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를 활용한 전력거래 허용 및 신산업 맞춤형 요금제 도입(2015년), 공공기관 전기차 구입 의무화(2015년), 전기소비 감축도 전력자원으로 인정하는 등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에너지신산업과 신설을 통한 통합적 관리 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신산업 육성을 통해 2조800억원의 시장 창출효과 및 1만 200개 이상의 고용이 생겨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yeo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