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기후변화센터



 

[환경일보] 박미경 기자 = 기후변화가 식량생산을 위협하면서 위기론이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해양은 온난화의 실질적 영향을 받아 해양 산성화 및 어획량 감소문제가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사료 곡물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축산업도 세계 식량시장의 불안이 가속화되면서 우리나라에 맞는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재단법인 기후변화센터(이사장 이장무)는 지난 2월23일 여전도회관 세미나실에서 ‘기후변화시대 식량위기, 수산과 축산에서 해법을 찾다’를 주제로 특별 세미나를 개최했다.

 

기후변화센터 적응분과 정책위원회는 작년 11월 ‘기후변화시대, 농업과 식량위기에서 해법을 찾다’를 테마로 토론한데 이어 오늘 두 번째로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수산자원, 축산과 관련된 식량문제에 관한 사회 전반적인 이슈를 다루는 자리를 마련했다. 

 

수산자원 자생할 수 있는 환경 조성해야
이날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김수암 교수가 ‘불확실한 미래 환경과 수산생물자원의 변동’을 주제로 수산분야에 대한 발제를 했고 농축산 컨설팅 및 정보화 네트워크 개발회사 함컨설팅 함영화 대표가 ‘기후변화와 친환경 축산’을 주제로 축산분야에 대한 발제를 했다.

 

김수암 교수는 “우리나라가 위치한 북서태평양 연안은 세계 어획생산량의 4분의1을 자랑하는 어장임과 동시에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수표면 온도가 가장 빨리 상승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며 “해양온난화의 실질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가 해양 산성화와 어획량 감소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수산 식량자원들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바다 목장화’ 및 ‘양식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함영화 대표는 “사료 곡물의 90%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축산산업은 세계의 기후변화에 직격탄으로 영향을 받는 구조”라며 “방목을 통해 보다 나은 사육환경을 조성해 사육하는 ‘친환경 동물복지’는 가축들의 기후변화대응능력 제고는 물론, 소비자들의 요구에도 부합해 장기적인 차원에서 축산사업의 기후변화 대응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승 전문연구위원은 “홍수와 가뭄 등으로 인한 물부족 문제, 지역간 물 갈등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통합물관리’처럼 수산과 축산 분야에서 ‘통합기후변화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식량 위기의식 자각 등 국민 인식제고 필요

고려대학교 기후변화학과 이우균 교수는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에는 농업, 산림, 생태계, 수자원(해양), 재해재난, 수자원, 보건 이렇게 7개로 나뉘어져 있는데, 실제로 농업만 보더라도 과수, 원예 등 세분화된 영역을 뭉퉁그려서 과연 얼마나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연구와 정책이 나올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며  “식량부분의 취약함이 현재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에서 진행중인 ‘부문별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2단계’에 반영이 돼야 한다” 라고 지적했다.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오재호 교수는 “식량위기는 무엇보다 국민들의 인식제고가 선행돼야 한다”며 “소비자들이 식량위기의식을 자각하고 주체적으로 기후변화대응을 행동에 옮기고, 이것을 확산해 궁극적으로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일련의 활동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한 ‘불확실한 미래 환경과 수산생물자원의 변동’ 및 ‘기후변화와 친환경 축산’ 강의자료는 기후변화센터 홈페이지(http://www.climatechangecenter.kr) 내 자료실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glm26@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