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원 기자 =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8년(2010년∼2017년) 동안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살고 있는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시기를 관찰한 결과, 올해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일이 2010년에 비해 16일 빨라졌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연구진은 2월 6일 지리산 구룡계곡 일대에서 북방산개구리가 올해 처음 낳은 알덩어리(난괴)를 확인했다. 지난 2010년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일은 2월22일이었다.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일이 가장 빠른 날은 2014년의 2월1일이었고 가장 늦은 날은 2015년에 기록한 3월4일이다. 8년 동안 평균 첫 산란일은 2월16일(표준편차 11일)로 나타났다.

북방개구리의 산란이 빨라지면 곤충 등 먹이가 되는 다른 종의 출현시기와 맞지 않아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사진제공=국립공원관리공단>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일은 적산온도가 발육에 필요한 최저온도(발육영점온도, 5℃) 이상이 되는 날(적산온도 시작일)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적산온도 시작일이 빨라지고 일정한 온도를 보이면 그만큼 산란도 빨리한다. 겨울철 기온이 변덕스러우면 산란일은 헝클어진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생태계 먹이사슬의 중간단계에 있는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일이 일정하지 않으면 곤충 등 먹이가 되는 다른 종의 출현 시기와 맞지 않아 향후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으로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 시기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북방산개구리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종’에 속하며 이 종은 외부 환경변화에 민감하다.

암컷이 1년에 한번 산란하기 때문에 알덩어리 수만 파악하더라도 해당지역의 개체군 변동을 추정하는데 용이하다.

나공주 국립공원연구원장은 “이번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일 관찰 결과는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며 “기후변화에 의한 국립공원 생태계의 영향을 비롯해 생물지표 종에 대한 관찰을 강화하고 향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