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오성영 기자 = 박 양(20)은 요즘 엄마의 모습을 볼 때마다 짠한 마음이 드는 것을 감출 수 없다. 어느새 50대가 되어버린 엄마. 어린 시절 기억 속의 아름다운 여성은 어느새 전형적인 아줌마로 변해있었다.

엄마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해 올해 초부터 다이어트를 돕기 시작한 박 양. 어느새 혈압은 안정을 찾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체중이 5KG 이상 감량된 것을 확인하기도 했다. 그런데 조금은 날씬해진 몸매와 달리 유독 얼굴살만은 감량 전과 별로 다름이 없었다. 박 양과 어머니는 ‘나잇살은 어쩔 수 없는 걸까?’라는 생각에 좌절하고 있다.

나이가 들수록 ‘나잇살’이 생긴다고 한다. 얼굴, 배, 팔 등에 붙은 군살이 대표적이다. 노화와 함께 나잇살까지 쪄버리고 나면 외모가 망가지는 것은 물론 건강에도 유해하다. 때문에 40대 이상의 여성들은 나잇살 다이어트를 계획하곤 한다.

침샘비대가 발생한 데에는 원인이 있다. 침샘을 자극하는 행위, 예를 들어 다이어트 중 나타날 수 있는 폭식증 및 구토, 그리고 평소의 과음과 흡연, 맵고 짠 음식을 즐기는 식습관등이 대표적이다.


나잇살이 찌는 것은 호르몬과 관계가 깊다. 30대부터 성장호르몬이 십년 주기로 14%씩 감소함에 따라 근육량이 줄고, 신진대사량이 떨어진다. 근육이 있던 자리에는 지방이 낀다. 40대 이후부터는 매년 평균 450g씩 체중이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나이가 들면서 몸이 무겁다는 이유로 운동을 하지 않는 것도 나잇살이 찌는 요인이다.

물론 나잇살은 해결 불가능한 것이 아니다.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해 다이어트를 하면 된다. 진짜 문제는 다이어트 이후에도 사례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유독 얼굴살이 빠지지 않는 경우가 꽤 흔하다는 점이다.

이렇게 얼굴살이 다이어트 이후에도 유독 빠지지 않는 데는 우리가 잘 모르는 원인이 있다. 청담 로즈피부과 윤영민 원장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Q. 다이어트 이후에도 얼굴살은 빠지지 않는 경우 원인은 무엇인가?
A. 다이어트 이후 다른 부위와 달리 턱살 등의 얼굴살이 남아 있게 된다면 여성들은 다이어트에 실패했다고 생각하며 좌절하기 쉽다. 특히 중년여성들은 나잇살을 원망하며 다이어트를 포기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얼굴살이라고 해서 다른 부위와 달리 살이 빠지지 않을 이유는 없다. 때문에 이때는 다른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 해볼 필요가 있다. 해당 증상을 겪고 있는 여성들에게서 흔히 발견되고 있는 것이 침샘비대증이다. 침샘비대증은 살이 찐 것은 아니지만, 얼굴 살이 찐 것처럼 보이게 만들 수 있어 착각하기 쉽다. 이러한 증상은 중년여성들은 물론 젊은 여성들에게도 마찬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

Q. 침샘비대를 따로 치료해야 하는 것인지?
A. 침샘비대가 발생한 데에는 원인이 있다. 침샘을 자극하는 행위, 예를 들어 다이어트 중 나타날 수 있는 폭식증 및 구토, 그리고 평소의 과음과 흡연, 맵고 짠 음식을 즐기는 식습관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지 않는다면 침샘이 저절로 작아질 리는 없다. 또 침샘비대증 치료가 아닌 턱살을 해결하기 위한 얼굴 지방흡입술을 받는 것도 시술 후 침샘이 더욱 도드라져 보이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침샘비대가 의심되는 상황이라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침샘비대증 치료를 받는 것이 맞다.

Q. 침샘비대는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A. 침샘비대증과 관련 미국피부외과 학회지(Dermatologic Surgery)에 논문을 발표하는 등 치료 노하우가 풍부한 청담 로즈피부과의 ‘침샘보톡스’ 시술로 침샘비대증을 치료할 수 있다. 이 치료방법은 주사 시술을 통해 간단히 침샘이 작아지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치료는 마취연고를 바르고 20분정도 후에 5분 정도에 걸쳐 보톡스를 주입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시술 후 일상생활에 거의 지장이 없고, 별도의 회복기간도 필요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한 달쯤 지나면 침샘의 크기가 줄기 시작하는 것이 보이며, 이에 따라 얼굴이 갸름해지기 시작한다. 2~3개월까지는 이러한 효과가 더욱 강화된다. 3~6개월 간격으로 반복치료와 관리를 받는다면 효과를 강화하고 침샘비대의 재발도 충분히 막을 수 있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