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처장이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부산=환경일보] 서기량 기자 = 부산환경운동연합은 지난 8일 환경운동연합, 원자력안전연구소와 함께 부산환경운동연합 4층 회의실에서 '고리원전 중대사고 대피 시나리오 기초연구 발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처장은 “작년, 계기 기록상 최대 규모의 경주 지진이 발생했다. 또, 고리 원전 반경 30km 내에는 약 380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게다가 신고리 5,6호기까지 들어서면 원전 10기가 인접한 곳에 밀집된다. 하지만 실제 원전사고에 따른 방사성물질 확산 평가와 대피 시나리오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원전 사고가 발생할 경우 재난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원자력안전연구소 한병섭 소장은 바람의 확산에 따른 방사성물질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소의 이번 연구는 원전 주변 지역의 실제 지형지물이 고려됐으며, ‘저압경계부 냉각제 상실사고’로 원전 사고를 가정했다. 격납건물이 파손되지 않고 우회경로 방사성물질이 방출되는 사고로 가정한 것이다. 이때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은 세슘 134와 137 보유량의 약 38%가 서서히 방출되는 것으로 가정했다.

실시간 방사성 물질 확산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확산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칼퍼프(CALPUFF)가 사용됐다. 이것은 미국 환경청이 기상변화 예측용으로 사용하는 오픈 소스로, 원자력안전기술원이 현재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연구소는 ‘동적 대피 시뮬레이션 작업’을 했다. 원전으로부터 반경 20km를 설정해 대피 시뮬레이션 구역을 설정했다. 또, 실제 도로현황과 도로차선, 실제 행정동 내 건물과 실제 인구분포를 이 구역에 입력했다. 대피 예측을 위한 발전소 주변지역 도로망은 2015년 국가교통 DB를 사용하는 등 최대한 실제상황에 근접한 자료를 사용했다.

연구소는 방사선 누출과 같은 중대사고를 발생 30분 후에 통보하는 것을 가정해 대피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연구했다.

연구 결과, 170만명의 90%가 고리원전 반경 20㎞ 밖으로 대피하는 데 22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방사성물질 확산 시뮬레이션과 동적 대피 시뮬레이션을 통합했을 때 ‘대피시간 동안 집단 피폭선량’은 25만person rem으로 평가됐다.

‘상습 정체 구간’은 만덕터널 부근, 서면, 부산-울산 고속도로로 조사됐다. 또, 대피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기장과 반송 사이에 약 3.3km의 가상 도로를 개설할 경우 고방사능 지역에서 더 빨리 벗어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때 집단 피폭선량이 10%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 소장은 "앞으로의 과제는 환경영양평가 대상인 원전 반경 80km까지 방사성 물질 확산과 대피 시뮬레이션을 하는 것"이라며 "도로 추가 개설 등의 조치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옥내 대피에도 계획적 준비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기존 방사선비상계획구역 설정과 대피소 위치의 적절성을 점검하고, 원전사고 조기 경보 시스템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seokr@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