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리우+20 정상회의를 통해 세계는 녹색이슈를 빈곤감소 및 개발 논의와 통합해 글로벌 어젠다로 제시했다. OECD, UN, WB 등 국제기구는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글로벌 재원 흐름을 점검해 보니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흘러가는 재원은 연간 약 1,200억 달러 규모라고 한다. ODA 등 공적재원 규모는 400억 달러로 민간재원에 비해 비중은 작지만, 투자 촉진을 위한 촉매제로 필요하다고 평가한다. OECD DAC(개발원조위원회) 24개 회원국 중 최대 공여국은 일본, 독일, 프랑스 순이며 우리나라는 14위에 위치한다.

개도국을 대상으로 한 공적개발원조 사업인 녹색ODA의 핵심과제는 민간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혁신적 재원모델 발굴, 개도국 녹색 성장 모델을 지원하는 지식공유, 부산 파트너십을 통한 개발효과성 확보 등이다. 기후변화대응 ODA의 규모가 급증하면서 녹색 ODA 전반에도 효과성과 효율성 향상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녹색ODA 비중이 확대되는 만큼 적극적인 사업발굴, 유무상 연계, 민간투자 유도 등 ODA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기대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녹색ODA가 개별성과위주의 사업방식으로 진행되면서 사업 숫자는 늘고 있지만, 질은 퇴색됐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많은 NGO들은 사전조사나 네트워크 구축 없이 사업허가가 잘 되는 개도국과 기술에 몰려 사업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

지난 수년간 한국 정부는 에너지개발 및 공급 ODA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국내 NGO 내에서도 개도국을 대상으로 한 재생에너지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적 특성이나 문화 등에 대한 사전조사와 사업의 전문성이 부족하다. 한국이 추진하는 ODA 사업은 주로 프로젝트 형태로 구성돼 있는데 국내 NGO들은 사업을 따서 예산 끌어오기에 급급해 문제의 핵심을 벗어나 목적이 흐려진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사막화가 진행중인 아프리카 국가에 우물사업을 시행하면서 사업 후 변화를 고려치 않아 이웃 마을에 피해를 초래하는 한계를 보인다는 것이다. 외국의 경우 사업의 우선순위 선정과 조사 등 사업에 필요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사업을 선별적으로 실시하면서 수적인 확대보다 질적인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평가 및 성과관리를 통해 ODA 사업 전반을 결정하는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단기 개발목표 보다는 사업을 통해 얻을 중장기적 성과를 규정하고 측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원 관리 및 신재생에너지 활용 등 우수 사업들을 모델화해 시행 방향을 공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정부 역할을 먼저 정리하고, 신뢰할만한 조직을 통해 정보공유 플랫폼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