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체적으로 안전문제가 부상하면서 재해 예방과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방재산업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11년 우면산 산사태, 강남역 침수와 같이 도시 재해는 기후변화에 따라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우리나라에서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1960대부터 이어진 급격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했고, 지난 100년간(1912~2008년) 평균 기온이 1.7℃ 상승해 세계 평균 의 2배에 가깝다는 사실은 이산화탄소배출과 기온상승과의 비례적 관련성을 입증한다.

최근 폭우와 폭염, 한파 등 기상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재난은 대형화, 다양화 되고 있다. 게릴라성 집중호우는 도시화에 따른 대기환경 변화와 열섬현상에 의해 생긴다. 과거 관악구에 집중된 호우가 최근 서초, 강남으로 이동하고, 강우일수는 감소했지만 발생빈도는 증가하고 있다. 지난 8월 말 남부지방 폭우로 12명이 숨지거나 실종되는 피해가 잇따랐고 시간당 100㎜ 안팎의 집중 호우로 부산 지하철과 열차, 울산·경남 도로 등 공공시설과 재산 상 피해도 속출했다. 폭우 뒤 폭염이 오고, 폭염은 또 가뭄을 동반하는 식의 악순환도 되풀이 되고 있다. 기후변화적응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불가피한 시점이다.

도시가 재해에 취약한 원인에는 불투수면적 증가도 있다. 과거 전통마을은 도로가 흙으로 되어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하는 구조지만, 지금은 도로를 따라 물이 빠르게 이동하면서 단 시간 우수가 집중돼 침수되곤 한다. 또한 물이 모이는 저지대에 주택 및 상가가 밀집돼 재해에 취약하며, 하천변과 급경사지 주변에 조차 거주지가 조성돼 있다. 기후여건은 더 악화되고, 슈퍼 태풍도 가능한 것으로 보여 더 큰 피해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 방재 대책은 지하 저류지 조성에 치중한다는 한계가 있다.

일 년에 한두 번 오는 태풍과 폭우에 대응하기 위해 큰 비용과 시간을 들여 대규모 지하 저류지를 만드는 것은 실효성이 없다. 오히려 평소 잘 활용하지 않는 시설에 방재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도시 개발이나 건축 시 녹지를 많이 확보하고 방재 개념을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한 화단을 만들어 빗물을 모을 수 있고 공원, 학교 등 기반 시설을 저류지로 활용할 수 있다. 폭우 취약성을 고려해 취약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녹지 등 오픈스페이스 용지를 배치하고 안전한 지역에 주거용지를, 완충지역에 공공시설용지를 배치해 재해를 저감 시킬 수 있다. 건물 배치만으로도 재해 예방이 가능하다.

폭우 시 시민 활용도가 적은 공원, 학교, 공공시설에 물길을 끌어당겨 저류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민 역할이 중요하며 커뮤니티를 형성해야 한다. 이웃과 협력해 위험지역을 찾아내고 재해 발생 시 어떻게, 어디로 대피할 지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이 자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예방에 대한 정부의 인식을 높이고, 재난 컨트롤 타워 기능도 강화해야 한다. 예방에 투자하면 복구비를 30~50% 줄일 수 있다. 선조들은 자연과 함께 생활하는 입지와 토지이용으로 안전할 수 있었다. 지속가능한 삶을 실천한 그 지혜를 배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