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인의 저녁 식사 메뉴 비슷해져
식량 안전을 위한 식단의 다양화 필요


[환경일보] 옛날 우리 선조들은 좁은 농경지에 여러 종류의 작물을 재배해 대부분의 식재료를 자급자족 해왔다. 그러나 근대화가 시작되면서 농업의 형태는 특정 농작물을 재배하고 공급해 경제적 이익을 얻고 그 이익으로 다른 농작물을 구입하는 형태의 기업농으로 바뀌면서 단일품목 집중화가 가속화됐다. 단일 품종으로 넓은 면적에서 재배하는 것이 편리성 및 경제적 측면에서 훨씬 유리하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다양한 먹거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은 점차 좁아지고 있다고 할 것이다. 식단의 동질화로 이제껏 특정 지역의 중요한 식량자원이었던 고구마, 얌, 사탕수수, 마카 등의 소비는 줄어들고 있다.

태평양 섬 주민들은 필요한 지방의 원천인 코코넛을 덜 먹게 됐고 동남아시아의 사람들도 쌀에서 얻는 칼로리를 점차 줄이고 있다.

콜롬비아 국제 아열대농업연구센터의 연구진에 따르면 지난 50년 전보다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몇 안 되는 농작물과 육류, 유제품 등에서 대부분의 칼로리와 영양분을 섭취하고 있다고 한다.

전 세계인의 저녁 식사 메뉴가 점차 비슷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들은 1961년부터 2009년까지 152개국의 식재료에 관한 유엔의 자료를 검토한 결과 전체적으로 음식의 양이 늘었고 밀은 전체 국가의 97.4%에서, 쌀은 90.8%, 콩은 74.3%가 주요한 식재료로 소비되고 있었다.

또한 육류가 점차 단백질 섭취에서 더 중요한 공급원이 됐고 콩과 옥수수, 팜, 해바라기 등 기름을 생산하는 농작물이 주요 표준 식량자원 자리에 오르게 됐다고 했다.

밀과 쌀 감자 등 몇 되지 않는 종류의 작물로 집중되는 식단은 위험하다. 병해충의 공격으로부터 먹거리를 안전하게 지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건강 또한 위협받게 된다는 것이다. 현시점에서 세계인의 식탁에서 외면 받고 있는 호밀, 얌, 카사바 같은 농작물의 보존과 재배가 시급하고 식량 안전을 위한 식단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18세기 아일랜드의 감자 기근은 아직도 역사상 큰 재앙으로 기억되고 있다. 당시 아일랜드에서 감자는 삶거나 굽기만 해도 먹을 수 있어 가난한 농부들에게 사랑 받았다고 한다. 감자는 빈곤에서 탈출하는 데에 기여했지만 이 감자 때문에 약 100만 명의 사람들이 사망했다.

감자역병으로 감자는 모두 죽어갔고 감자가 유일한 식량이던 사람들 또한 사망했다. 오늘날에도 그때의 감자기근과 비슷한 상황의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바나나 전염병인 일명 ‘파나마병’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더 이상 바나나를 먹을 수 없게 될 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전 세계 바나나 생산량의 75%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캐번디시’ 바나나는 중국과 베트남에서 유래한 재배품종이다. 예전에는 바나나 종이 다양했지만 시장이 원하는 방향에 따라 크게 빨리 자라도록 캐번디시 품종을 만들었다.

사실 캐번디시 품종의 탄생 이전에도 ‘그로미셸’종이 있었지만 이 품종이 파나마병으로 위험에 처하면서 이를 대체할 바나나로 캐번디시 품종이 탄생한 것이다. 한 외신 보도에서 바나나 전염병 파나마병의 일종인 TR4가 전 세계로 빠르게 퍼지고 있고 이 전염병으로 인해 바나나가 지구상에서 사라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했다.

다양한 품종과 작물의 재배가 불안정한 기후변화 상황에서 병해충의 공격으로부터 안정적 먹거리를 우리 인류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건강을 지켜줄 수 있다.

지난 50년간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은 몇 안 되는 종류의 농작물과 육류 유제품 등에서 대부분의 칼로리와 영양분을 섭취함으로써 심장질환이나 암, 당뇨병 등이 더 빈번해졌다. 식단이 주요 농작물 몇 가지로 집중되면 이 농작물이 해충과 질병 등에 취약해질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경제논리와 편리함의 추구가 오히려 우리의 먹거리 걱정과 건강을 위협하는 부메랑이 돼 버린 것을 자각하고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급변하는 기후변화 속에서 우리의 안정적 먹거리 확보와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그 옛날 우리 선조들이 발휘해온 지혜를 거울삼아 생물종, 특히 작물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재배해나가는 방법에 대해 끊임없는 고민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된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