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설계는 개인이 자신의 노후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일이기도 하지만 사회 공동체의 책임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여기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노후 삶의 문제를 개인이나 그 가족의 책임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 사회 공동체의 노력과 개인의 노력이 적절히 결합하고 조화를 이뤄야 한다. 먼저 정부 정책의 역할을 생각해볼 수 있다.


공적 연금 제도를 통해서 은퇴한 장년층들이 기본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게 기본이다. 질병 치료와 건강관리 서비스를 큰 걱정이나 부담 없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서비스도 중요하다. 더 나아가 노후의 요양이나 간병에 대해 걱정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도 절실해지고 있다. 기본 생계를 넘어서 노후 삶의 질을 높이는 노력도 꼭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부분이 발전할 때 선진 사회가 앞당겨질 것이라 본다. 직업을 통해 수입을 얻고 자아실현을 하려는 사람들을 위해 일자리를 개발하고 중개하고 관련된 교육과 서비스 제공도 필요하다. 경제적 직업이 아니더라도 장년층의 경험과 지혜를 발휘해 사회가 발전할 수 있도록 봉사 영역을 개발하고 지원하는 방안도 매우 바람직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장년층들이 단순히 복지의 수혜자가 아니라 사회를 위해 ‘주는 사람’으로 당당히 자리매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취미나 여가 활동을 지원해주는 사회적 인프라도 확충될 필요가 있다.


어르신 세대와 그 아래 세대의 조화 위한 교육 필수
사회 문화적인 면에서도 고령화 사회에 걸맞게 발전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고령화에 대한 ‘사회의 마음가짐’ 정도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은퇴설계에서도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마음가짐이 출발이 된다. 우리 사회도 마찬가지다. 고령화를 헤쳐 나가기 위한 마음가짐이 토대가 돼야만 한다. 사회의 마음가짐을 갖기 위해 존중과 배려를 회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과 캠페인이 필요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경로나 효와 같은 사적 윤리에 대한 부분만 강조됐다면 이제 고령화 시대에 특정한 역사적 경험을 가진 어르신 세대와 그 아래 세대가 어떻게 조화를 이룰지 공적인 윤리나 가치체계를 교육해야 할 것이다.


 

사회적 복지 시스템에 대해서도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고령화에 따라 복지 지출이 점점 늘어날 것이다. 어르신 세대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정당한 것을 받는다. 대개는 휠씬 적게 받게 된다. ‘부양’이라는 사고방식 자체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리고 어른이니 무조건 존경해야 한다는 사고방식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보다는 어르신 세대를 경험과 지혜를 갖춘 훌륭한 사회인으로 받아들이고 함께한다는 열린 사고가 필요하다.

 

<글 / 한국은퇴설계연구소 권도형 대표>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