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소<사진=박순주 기자> 

[환경일보] 박순주 기자= 일반 국민들이 이용하지 못하게 만든 전기차 충전기에 국민혈세가 투입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기차 시장점유율 10% 달성을 외쳤던 정부의 전기차 정책이 부실한 충전인프라와 충전방식의 비표준화로 전기차를 이용하는 국민들만 불편을 겪고 있는 셈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주영순 의원은 10월23일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보급된 전기차 충전기의 40%는 일반 국민들의 이용이 불편하거나 이용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주영순 의원에 따르면 보급된 2673기의 충전기 중 환경부가 공공부분에 설치된 985기의 충전기에 대해 실태점검에 나선결과, 397기(40.3%)에서 일반인 출입제한, 충전 시 주차비용 징수, 퇴근시 전원 차단, 안내 표지 미설치 등의 문제가 나타난 것으로 드러났다.

주영순 의원은 “일반 국민들이 이용하지 못하게 만든 충전소를 만들려고 국민 혈세를 투입했느냐”며 “사업초기 주먹구구식의 인프라 구축이 원인”이라고 질타했다.

주 의원의 지적처럼 충전소의 절반가량은 일반 국민이 이용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이용을 위해서는 충전비용 외에 충전시의 주차비용을 추가 납부해야 한다. 이러한 불편 때문에 급속충전기의 80%는 1일 1회 사용조차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차는 1회 충전 시 실제 운행거리가 60km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24시간 급속으로 충전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지만, 전체 177기 중 56.5%만이 24시간 충전이 가능했다. 특히 전기차 충전소가 밀집한 수도권의 경우 24시간 충전이 가능한 곳은 69기 중 35.1%인 26기에 불과했다.

주영순 의원은 “차종에 따라 충전호환도 되지 않아 쏘울이나 레이가 아니라면 충전소를 찾아 헤매야 하는 실정”이라며 “전기차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용자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편익이 담보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보급된 급속충전기 177기 중 DC차데모 방식인 기아의 쏘울이나 레이 차종은 전부 이용 가능하지만, AC3상 방식인 삼성SM3는 96개소만 이용이 가능했다. GM의 스파크나 BMW는 그마저도 이용이 불가해 집에서 완속충전을 해야 도로로 나올 수 있었다.

한편 환경부는 2015년까지 국내 그린카 120만대 생산과 보급을 목표로 2020년까지 전기충전기 14만여기를 설치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올해 7월까지 2578대의 전기차와 2673기의 충전기를 보급했고, 1273억5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parksoonju@naver.com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