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루바닥재에도 자연과 흡사 제품 출시 잇따라 다행

최근 몇년 사이 실내 건축 업계가 주춤하고 있다.
한 방송사에서 소개된 ‘환경의 역습’이라는 프로를 통해 문명의 발달이 가져다 준 피해를 직접 눈으로 확인했다.

화려함, 실용성과 편리함 등에 감추어진 폐단에 대한 반향은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내오염은 개인 각자가 경계하고 주의 해결 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가 풀어나가야만 하는 환경문제의 하나다.

일반적으로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건축내장재에 의한 실내공기질 발생 오염원들은 다음과 같다.

실내의 대부분을 감싸고 있는 벽지 중에는 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고 있고 실크벽지는 벽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력이 강한 접착제를 사용해 접착시키고 있다.

또한 포름알데히드를 방부제로 사용하는 전분풀도 사용되고 있다.

PVC 장판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환경호르몬으로 의심되는 프탈레이트 가소제를 사용하고 마루바닥재는 제조시에 포름알데히드가 포함된 접착제를 사용하며 시공 때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원인 물질인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다.

건축내장재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을 저감하는 방법은 근본적으로 친환경 소재로 건물을 짓는 것이 중요하다.

재료 선택 시 천연시멘트, 무석면 마감재 단열재, 친환경 수성 접착제, 친환경 벽지나 한지, 천연 무늬목 바닥재, VOCs 방산이 적은 수성페인트, 친환경 페인트로 도장된 가구 등 건축물에 사용되는 부자재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제조업체에서는 에코 설계 기술을 이용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유해물질 등을 사용하지 않고 친인간·친환경 테크놀러지를 기반으로 인체에 해가 없는 친환경 원료를 사용한 신제품 등이 출시되고 있다.

국내에도 환경부 및 환경관련 협회 등 민간단체에서 규정을 정해 친환경 자재에 대해 환경마크나 HB마크 등을 인증하고 있고 매년 친환경 제품에 대해 한국소비자 웰빙 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실내 내장재로 전체 공간에 대해 대략 1/6정도를 차지하는 마루바닥재료는 모노륨(PVC 장판), 대리석 타일, 목질계 마루바닥재로 크게 나눠진다.

모노륨은 가격이 저렴, 다양한 색상 디자인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으며 시공이 간편한 게 장점이다.

단점은 화재에 취약하며 화재 시 유해가스를 발생시키고 모노륨 자체가 실내 습도 조절 기능이 불가능하고 쉽게 찢어지는 것이다.

대리석 타일은 미려한 실내공간 조성, 장기간 사용 가능, 고급스러움을 장점으로 들 수 있으며 단점은 가격이 고가,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가 심하고, 부분손상에 대한 보수가 어렵고 좌식 주거환경에는 부적합하며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면 위험하다.

목질계 마루바닥재는 자연친화적인 외관, 감촉 등이 따뜻한 느낌을 주어 자연미를 연출 할 수 있고 미려한 실내공간을 연출 가능하다는 게 장점이다.

단점으로는 접착제 사용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원 증가, 모델링 시 해체공사가 어려움이 있고 장기 사용에 따른 틈새에 오염 및 표면 오염이 증가 한다는 것이다.

목질계 마루바닥재 시공방법에 따라 접착식 마루, 비접착식 마루 (현가식)으로 나눠진다.

접착식 마루는 대부분 콘크리트가 바닥인 동양에서는 그 시공의 용이성으로 인해 많이 시공되는 유형중의 하나이다.

바닥에 직접 접착하므로 마루판 자체의 규격 정밀성에 다소 여유가 있고, 수지 외에는 별도의 부자재가 없어 시공이 간편한 편이라 물류비용이 타 마루재에 비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에폭시 수지의 강력한 접착력으로 변형을 억제하고 마루재 가공 등을 통해 수축팽윤을 소재 자체가 흡수할 수 있도록 디자인돼 있다.

바닥의 불충분한 양생으로 인해 습기가 유출돼 발생한 콘크리트 바닥과 바닥의 레벨 불량으로 인한 하자가 일어날 수도 있고 하자발생시 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가 주요인인 알레르기와 피부 및 호흡기 질환 등 유독성 문제와 강력한 접착력으로 인해 보수 시 별도의 철거비용이 필요한 것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원목마루는 시공 시 마루의 지지를 위해 안 보이는 곳에 못 치는 공정은 많은 품이 들고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접착식 마루는 수지의 독성문제, 개보수시의 추가비용 등 시공상 어려운 점을 수반한다.

이의 개선을 목적으로 출현한 비접착식 (현가식)시공은 제혀쪽매 접합디자인으로 凹부의 홈에만 접착제를 도포, 제혀쪽매 부위만 접합돼 마루판이 바닥로부터 떠 있게 된다. 이러한 시공방식을 현가식 시공이라 하고, 이때 바닥의 가장자리에 수축팽윤 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가식 시공은 필요 부자재가 많으며 시공원칙을 무시하면 시공하자가 발생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제품의 정밀성이 뛰어나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렇지만 접착식 합판마루에 비해 차음성이 뛰어나고 보행감이 우수하며 하자발생시 낱장의 마루판만 기술적으로 교체 및 보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목질계 마루바닥재 선택 시에는 마루바닥재의 종류, 시공방법을 고려하고 한국공기청정협회의 친환경 건축자재 단품품질을 TVOC, 5VOC, HCHO로 최우수, 우수, 양호, 일반 I, II 등급 나눠져 있는 부분과 KS에서는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에 따라 Super E0, E0, E1, E2 로 구분하고 있는 제품의 등급을 참조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유익한 실내공기 조성에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

<김현중 교수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