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디 위주로 단조롭게 조성된 도시림이 휴식과 경관기능을 혼합한 도시숲 형태로 탈바꿈한다.

산림청은 24일 “도시지역의 공원 녹지 유원지 등에 존재하는 도시림에 대해 지역특성과 주변 환경에 따라 그 기능을 구분하고 기능별 관리, 녹색 네트워크 구축, 재해예방 조치 등 체계적 기준을 마련해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시림 관리지표’에 따르면 도시림은 기능에 따라 공원형, 경관형, 방풍 방음형, 생산형으로 구분하고 이들 도시림에 대한 숲 가꾸기, 나무심기 등과 같은 관리를 추진토록 했다.

[#사진1]
도시림 관리지표는 도시 외곽의 자연휴양림, 산림욕장, 도시자연공원 등과 같은 비생활권 도시림과의 연계방안과 도시림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재해예방 조치 등에 대한 기준도 담고 있어 도시녹지 공간의 생태적 건강성, 경관성, 주민 이용성 등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산림청의 ‘도시림 기본계획’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생활권도시림 면적은 6.56㎡로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9㎡/1인)의 3분의 2에 불과한 가운데 오는 2017년까지 10㎡/1인까지 높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림청은 전국의 도시림을 양적 질적 기준으로 그 실태를 조사해 도시림의 품질을 나타내는 ‘도시림 지속성지수’를 개발 도시림 조성과 관리에 대한 지자체와 지역주민의 관심을 높여 나가기로 했다.

특히 도시림의 ‘녹색의 질’ 향상을 위해 시비, 숲 가꾸기 등을 확대해 도시림 건강성 기반을 증진하고 도시 내외곽에 방치된 산림은 교육 체험형, 보건 휴양형 등 다양한 유형의 산림공원으로 조성 도시지역 녹색네트워크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도록 할 계획이다.

역사 전설 구전 등을 통해 전해내려 오는 유서 깊은 지역별 마을 숲에 대해서는 그 유형별 특징을 살려 복원·관리할 계획이다.

산림청 윤영균 자원정책본부장은 “급속한 도시화로 도시림과 같은 생활권 녹지가 크게 감소하고 그나마 존재하는 녹지조차 관리가 미흡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며 “도시림 기본계획을 통해 국민들에게 아름답고 쾌적한 녹색 생활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김기완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