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1]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이 북극해의 이용가능성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알려진 바와 같이 러시아가 사상 최대 규모로 이 지역에 대한 연구조사활동을 시작하고 있다.

2인승 소형 잠수함이 북극 얼음 구멍에 투입, 3마일 아래 바다밑 조사활동을 하고 있다. 이 잠수함들은 암석 샘플을 수집하고 티타늄으로 만들어진 러시아 국기를 꽂는 일을 한다.

러시아 국기는 46만마일에 이르는 현 국제수역이 러시아 영토라는 것을 주장하는 상징적인 표시다. 이 크기는 프랑스와 독일을 합친 크기보다 크며, 현재 발견되지 않은 석유와 가스 저장량의 4분의 1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국제해저청(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이 관할하고 있는 북극을 누가 소유하냐에 대한 이슈는 오랫동안 학술적인 문제라고 취급돼 왔다. 왜냐면 전 지역이 만년얼음으로 뒤덮혀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해 얼음이 얇아지자 다시 불거지게 됐다.

모스크바에 있는 카네기 센터(Carnegie Center) 알렉세이 말레셴코(Alexei Maleshenko) 박사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제1의 심각한 문제는 북극의 대부분이 몇 십년 내에 경제적 이용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는 "북극을 향한 경쟁은 점점 재밌어 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미 지질조사국(US Geological Survey)은 세계에서 발견되지 않은 석유와 가스의 25%가 북극해 밑에 저장돼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러시아 해양학연구소(Russian Institute of Oceanology)

[#사진2]칠린가노프는 북극 밑 해저에 대한 러시아 영토권을 주장하기 위한 외교팀을 이끌고 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소유권을 주장할 계획이 있는 이 안장 모양의 구역에는 100억톤에 달하는 석유를 비롯 광대한 양의 미네랄과 함께 어류자원도 매우 풍부한 것으로 분석했다.

1982년에 결정된 바다협정법(Law of the Sea Convention)은 각 국가의 영토로부터 12마일을 영해로 정하는 한편 200마일을 ‘경제수역(economic zone)’으로 정해 독점권을 인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법은 해저가 사실상 국가 지질학적 영토에 연결돼 있는 경우 경제수역으로 포함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이 러시아가 해당 수역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근거다.

[#사진3]<정리=김태형 기자ㆍ자료=크리스찬 사이언스 모니터, 모스크바>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