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식량 해결 동시에 생태 교란 우려
정부, 피해줄이기 위한 규제 강구해야


모든 과학 기술이 양면성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유전자조작식품(GMO)도 인류에게 식량해결 방안에서 유용한 측면과 생태계가 교란되는 등 환경재앙을 몰고 올 수 있다는 두 개의 얼굴 즉 야누스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굶주린 인류를 구제하기 위한 식량난을 위해서는 유전자를 지배하는 자가 21세기를 지배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것이 불러올 미래, 유전자조작의 끝은 어떻게 될까?

예측가능한 것은 현재로선 아무것도 없다. 유전자조작식품(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이란 생산성 향상과 상품의 질 강화를 위해 어떤 생물체의 유전자 중 일부를 제거하고 기존 유전자 중 유용한 유전자만을 취하거나 기존유전자를 원하는 성질로 변형시켜 새로운 유전자를 만든 뒤 다른 생물체에 옮겨 삽입해 만든 새로운 품종(농산물)을 말한다.

지구상에서 최초로 우리들 식탁에 오른 GMO는 수확 뒤에도 오랜 기간 물러터지지 않는 플래이브사브토마토였으며 그 뒤 GMO콩, GMO옥수수를 상품화했고 호박, 목화, 파파야 등 약 50여 종으로 그 종류와 재배면적이 확대돼 가고 있다. 2006년 현재 미국은 전세계 GMO 재배면적의 반 이상(53.5%)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옥수수의 93%, 콩의 90%를 수입해야 하는 처지이다. 우리는 지금 비록 적은 양이라도 GMO옥수수, GMO콩을 이미 먹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현재 수입되고 있는 non-GMO(비유전자조작식품)옥수수라 해도 100% non-GMO는 없다. GMO옥수수의 대규모 유통과정에서 GMO옥수수가 non-GMO옥수수에 섞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GMO가 non-GMO에 비의도적 혼입률의 허용치를 한국은 3%, 일본은 5%, 유럽은 0.9%, 아일랜드는 0.1%로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업체들은 GMO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때문에 가격이 30% 정도 비싼 비GMO옥수수만을 수입해 왔으나 올 5월부터는 국제기름값 폭등으로 비GMO옥수수값이 폭등하고 물량조차 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전분ㆍ전분당 원료용으로 미국에서 재배된 GMO옥수수로 대체해 5만여 톤을 들여오기로 결정한 후 유전자조작식품(GMO)에서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현재 GMO가 인간의 건강에 직접적 피해를 줬거나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지는 않았지만 그럴 개연성은 충분하다. 농약으로 사용됐으며 한때 노벨상을 탄 맹독성 화학물질인 DDT의 환경피해 즉 DDT가 생태계에 치명적인 독성물질임을 알아내는데 약 30년이나 걸렸다. 유전자조작식품 역시 DDT와 동일한 전철을 밟으면서 환경 및 건강에 크나큰 재앙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학자들은 우려한다.

지금으로서 예측가능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현재 국제적으로 GMO정책은 ‘안정성’ 논란을 미뤄둔 채 ‘표시제’로 가고 있다. 이처럼 결론을 내기 어려운 안전성은 뒤로 미루더라도 GMO제품이라는 표시제를 전면적으로 시행해 소비자에게 알권리와 선택권을 주고 GMO안정성 평가 및 관리기술의 제고, 유기농업의 활성방안 등을 강구해야 한다.

우리나라도 2001년부터 GMO표시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유럽연합 등 다른 나라에 비하면 열악한 실정이다. 당장 오는 5월부터 수많은 가공식품생산에 필요한 원료가 되는 전분과 전분당 원료용으로 GMO옥수수 5만여 톤이 들어오게 돼 있다.

지금이라도 우리 국민들의 불안과 불만감을 줄이고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비GMO 원료수급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서 내놓아야 한다. 반면 GMO원료를 사용하게 된다면 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규제 및 개선방법을 정부와 기업들은 적극적으로 강구하면서 GMO에 대한 연구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계속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