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취학전 어린이의 보육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서울형 어린이집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서울시는 일정 기준 이상의 보육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보육시설에 ‘서울형 어린이집’ 인증 마크를 부여 하고, 인건비와 운영비 등을 지원해 공공시설 수준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차원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육환경과 서비스의 질이 우수하고, 보육료 마저 민간보육시설에 비해 저렴한 국공립 보육시설은 그동안 입소대기자가 많아 장기 적체 현상을 빚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중복 대기자를 감안하더라도 국공립 어린이집 대기자는 현재 7만3천여 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여성의 자유로운 경제사회 활동을 보장하고, 최근 지속돼 온 저출산 분위기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육문제 해결이 선결과제라는 지적이 많았다.

특히 15세 이상 서울여성 중 절반에 가까운 49.8%가 여성 취업 장애 요인으로 육아부담을 꼽는 등 육아 문제는 여성 사회활동의 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꼽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예산 지원을 통해 현재 3세 이상의 경우 23만6천원인 민간어린이집 육아보육료를 국공립 수준인 18만5천원으로 5만1천원 가량 인하하는 등 공공 수준에 준하는 보육시설로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보육교사 인건비의 30~80%를 지원하고, 평균 보육료 수입의 10%를 시설 개보수비 등으로 지원해 국공립 시설에 못잖은 쾌적하고 안락한 시설로 교체한다.

또한 서울형 어린이집 인증을 받은 시설은 보육도우미와 급식도우미를 지원받을 수 있고, 원하는 어린이집에 한해서 CC-TV 등도 설치된다.

양질의 우수 한 보육이 가능하도록 보육교사 교육 지원도 펼쳐지는데 보수교육과정 등을 운영해 ‘아동 권리 보호와 아동학대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반면 서울형 어린이집으로 인증 받은 시설은 어린이집 회계계좌 시설명의 1개 계좌로 통합하고, 모든 지출은 서울시가 제공하는 클린카드를 통해서만 가능한데 이는 서울시가 지원한 금액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처리되는지 한눈에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민간시설이 서울형 어린이집으로 인증 받기 위해서는 보육시설 환경과 보육과정, 안전과 보육 인력 등 기본 평가와 함께 맞춤형 보육서비스와 급식관리 기준 등 안심보육환경 등 9개 분야 92개 항목을 충족시켜야 가능하다.

인증 받은 시설이라도 년 4회 ‘안심어린이집 모니터링’ 점검을 받아야 한다.

학부모, 보육관련 경험자 등으로 구성된 모니터링 단이 보육시설을 직접 방문해 아동시설의 급식, 위생, 안전 등 환경전반과 아동 학대 위험성 여부 등을 확인한다.

이처럼 국공립 수준의 저렴한 이용료와 수준 높은 보육의 질, 그리고 쾌적한 환경 등 서울형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동이 공공 보육시설 이용과 비슷한 혜택을 누릴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하고 있다.

<오성영 기자ㆍ자료=서울특별시>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