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감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리는 탄저병은 매년 이맘때 발생하는데, 단감 재배농가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병해이다. 최근 지속되었던 고온 현상으로 단감나무 가지가 무성해져 있고, 지금이 장마기간인데다 기온까지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병 발생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농가의 철저한 예찰과 방제가 요구되고 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달, 예년보다 높은 기온이 지속되면서 새가지가 무성해져 있고, 지난주부터 시작된 장마로 병이 들었던 과실과 가지 등 탄저병을 확산시킬 수 있는 전염원이 넓게 퍼져 나갈 수 있다고 들고, 예찰을 통해 발병이 확인되면 즉시 제거하여 이웃 나무로의 전염을 막아 줄 것을 농가에 당부하고 있다.


 탄저병은 지난해 감염되었던 가지, 또는 과실이 전염원이 되며, 병반표면에서 형성된 분생포자가 주로 빗물에 의해 전파되는데, 7~10일간의 잠복기간을 거쳐 발생하기 때문에 방제에 어려움이 따른다. 더욱이 현재 새가지에 탄저병이 감염된 경우는 과실이 자라는 사이 과실로 병반이 이동하여 품질과 수량면에 큰 피해를 줄 수 있고, 장마기간인 지금 잦은 비, 또는 집중호우 등으로 탄저병이 발생한 과수원은 가지가 무성해지면서 확산가능성이 한층 높아지기 때문에 철저한 방제가 요구되고 있다.


 탄저병에 감염된 가지나 과실은 즉시 제거하여 과수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버리거나 태워 없애야 하는데, 이들을 과수원 내에 방치하게 되면 비가 올 때 전염원이 되어 다른 나무에 피해를 주게 된다.


 농업기술원은 단감 탄저병은 일단 감염이 된 후에는 약제에 의한 방제효과가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사전에 이들 전염원을 확실히 제거한 다음 예방차원에서 적용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방제를 할 때는 비오기 전이나 비온 직후에 살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전했다. 단감 탄저병 방제약제로는 다코닐, 금비라, 톱신엠, 톱네이트-엠, 푸르겐, 시스텐엠, 안트라콜, 다이센엠-45, 금망, 장사진, 참조네수화제 등이 있다.
                                                              진주/박종운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