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_0007【환경일보=서울】국내 환경산업의 수출전략화 육성지원을 위해 지난 4월 새롭게 출범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새로운 국가발전 패러다임인 녹색성장의 중심에 환경산업이 서 있다는 공감대 위에 환경산업의 수출 전략화 및 육성을 지원하고 있다. 기술개발 단계에서부터 수출산업화까지 전 주기적인 ‘One-Step’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문화된 지원체계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배상용 실장을 만났다. <편집자 주>

 

환경산업 육성을 위한 실태 파악에 나서


국가가 나서서 환경산업의 해외진출 도와

 

Q. 현재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업무는 무엇인가?
A. 현재 국내에서는 녹색산업과 환경산업에 대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어느 부분까지 환경산업기술원에서 다룰 것인지 영역구분이 힘듭니다. 올해 사업의 포커스는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할 녹색산업의 범주는 어디까지인가?’에 맞추고 있습니다.

 

Q. 환경산업의 분류체계를 다시 잡는 말인가?
A. 우리나라는 OECD의 분류체계를 따르고 있는데, 이보다는 미국의 환경산업분류체계가 우리 현실에 맞다고 봅니다. 크게 3가지로 분류해서 환경서비스업(고형폐기물 관리, 유해폐기물 관리, 수처리 용역, 환경 컨설팅과 엔지니어링, 환경측정 분석 등)과 환경자원 이용업(자원재생, 수자원 재생, 환경에너지 지원 등), 환경 설비업(수처리 설비와 약품, 대기오염 방치설비, 폐기물 관리 설비, 청정공정 및 기술, 계측기 제조 등)으로 분류를 다시 하고, 환경산업이 어떠한 상황에 놓여 있는지 데이터를 구축 할 필요가 있습니다.

 

Q. 올해 환경산업육성자금 100억을 지원할 계획이라는데?
A. 국내 환경산업체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한 육성자금을 전반기에 이미 조기에 집행했습니다. 15개 기업에 산업융자자금으로 혜택이 돌아갔습니다. 앞으로는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다른 융자자금에 대한 부분도 진행할 계획입니다.

 

Q. 수출전략 업무도 진행하고 있다는데?
A. 환경부 정책에 대해 규제적인 측면만 부각될 뿐, 기술지원이나 산업육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못한 것이 현실입니다. 환경기술이 미래 핵심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기술만 개발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팔아야 합니다.

 

Q. 구체적으로 말해달라
A. 환경시장의 대부분이 공공기반시설이기 때문에 환경업체들이 해당 국가의 정부 관계자와 만나는 것조차 힘들어 해외진출에 애를 먹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따로 수출지원팀을 만들어서 각 국가의 도시마스터플랜 작성 단계에서부터 도와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돕고 있습니다. 기반조성 작업과 환경부분에서 미리 선점 해놓으면 우리 기업들이 후속사업을 다 가져갈 수 있습니다.

 

Q. 환경벤처센터에 기업들이 입주해 있는데?
A. 현재 16개 기업들이 입주한 상태입니다. 공간이 한정되어 숫자를 늘리기는 힘들지만, 중장기적으로 확산시켜야 합니다. 그 전초적인 단계로 원격보육을 통해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려고 합니다. 5개 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했는데 상당히 호응이 좋았습니다.

 

Q. 인증쪽의 전문가라고 들었는데?
A. ISO 인증에 관한 업무를 맡다보니 기업에 포커스를 두고 생각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환경부의 관련 정책들이 규제에 많이 치우쳐 기업에 대해 생각하는 부분이 부족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배출규제, 사후처리 부분에서 사전예방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에 맞춰나가야 합니다. 다른 나라의 경우 사전예방은 환경부에서 맡고 있는데, 우리는 아직 다른 부서와 영역이 겹쳐서 건드리지 못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상위개념에서 환경성을 넣어주는 리딩역할을 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큰 정책에서는 그게 좋지 않겠습니까?

 

Q. 앞으로의 환경산업 육성에 대한 계획은?
A. 육성대상 분야에 대한 실태를 파악해야 사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는 밑그림을 그리는 상태라고 보시면 맞습니다. 환경산업분야가 현실적으로 열악합니다. ‘환경산업이 돈을 많이 번다’ 이런 소문이 날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모범적인 리딩기업의 성공신화를 쓰고 싶은 생각도 있지만 지금은 통계를 내는 것도 힘이 듭니다.

 

녹색산업 육성은 기존의 환경부 마인드와 차이가 있는, 생소한 정책입니다. 환경산업도 규제가 아닌 육성으로 가야 합니다. 예산이 한정돼 있으니 선택과 집중의 문제가 되겠지요. 환경산업을 운영하고 있는 업체들의 요구조건을 어떻게 파악해서 지원해 줄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이 숙제입니다.

김경태 기자 mindaddy@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