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환경일보】중앙아시아의 주요 무역상대국인 카자흐스탄, 우즈벡키스탄 진출 관련 기업들은 은행업무와 관련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16일에 열린 ‘CIS 주요국 시장변화와 진출전략 설명회 및 상담회’에서 현지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부실한 은행문제와 외환거래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라나.
라나 칼무라도바 아베스타 투자그룹 공동대표
현재 카자흐스탄이 일부 은행의 해외채무 지급중지 선언과 해외채권 리스트럭춰링(restructuring)
 지연 가능성으로 인해 IMF 구조 자금 요청에 대한 우려와 함께 외환위기 가능성이 대두되는 것에 대해 김병권 KOTRA 알마티 센터장은 “외환 채무 상환을 위해 은행 구조조정 노력과 정부 지원계획이 가시화 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도, “카자흐스탄 정부가 은행을 국유화 했음에도 불구하고 은행 정상화를 위한 공적자금 투입 등의 조치는 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국가디폴트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국가의 지불능력을 뛰어넘는 규모의 부채는 분명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우즈벡키스탄에서 블랙마켓(Black Market) 자금을 끌어내 유동성 강화를 추진하기 위한 ‘은행에 예치된 달러에 대해 1년간은 자금의 출처를 묻지 않는 정책’과 관련해 “러시아에서 먼저 시작해서 따라가는 정책이기는 하지만, 별 실효성은 없다. 우리나라 역시 대기업에서 대규모의 자금을 쥐고 있지만, 이러저러한 당근책에도 불구하고 달러화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내놓지 않고 있다. 그쪽에서는 ‘블랙마켓 자금을 끌어내려면 대통령과 일가친척의 돈부터 끌어내야 할 것’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정책에 대한 신뢰성이 낮다. 한번 그런식으로 양성화 된 자금은 앞으로 각종 세금의 표적이 될텐데 누가 순순히 내놓겠는가”라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어 기업의 활발한 진출을 위한 업무환경과 관련해 “카자흐스탄 국내기업 역시 변호사와 회계사를 각각 10명씩 고용하고 있다. 그만큼 점검하고 또 점검해야 한다”라며 불안정한 정세와 정책에 대해 기업들이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중앙아시아의 법률상 유의점에 대해 설명한 김경목 변호사(법무법인 대륙아주 중앙아시아 전문 변호사) 역시 외환거래제도에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우즈벡의 외환보유고가 부족해서인지 아니면 외환보유고 관리를 위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기업의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수익을 송금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우즈벡 내 모든 비즈니스 결제는 은행계좌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접대비와 같은  비용은 연락소를 따로 차려서 체제비로 처리하는 것이 관행”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30여년 전부터 활동해온 이탈리아나 터키 등의 나라는 나름대로 외환거래를 하고 있지만, 우즈벡 정부는 대체적인 규제를 이용해 여전히 외환거래를 통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han_5885라나 칼무라도바 대표(아베스타 투자그룹 공동대표) 역시 은행에 관한 설명에서 “중앙은행의 로컬은행에 대한 지나치게 높은 이자율과 마진이 은행업무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으며, 현금인출에 있어서도 최장 6개월까지 걸릴 정도로 유동성이 좋지 않다”라며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우즈벡키스탄의 교토의정서 가입과 관련해 환경산업에 대한 전망에서 “우즈벡에서도 CDM 관련 많은 사업을 벌이고 있으며 한국기업 중 풍력발전 분야로 진출한 기업도 있다. 그러나 우즈벡에서 벌이는 국책사업 관련 큰 사업은 대기업이 우선이다. 다른 것은 몰라도 사업자본금이 많은 회사를 선별하고 있으며 대기업 중에서도 정부와 긴밀도가 있는 기업이 선정된다. 일본기업은 5~6년 전부터 추진해왔으며 미쓰비시의 경우 커다란 사업 7~8곳을 이미 진행 중이며 탄소배출권 시장은 일본기업이 이미 장악한 상태다”라고 설명했다.

 

김경태 기자 mindaddy@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