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이하 과학원, NIER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6대 원장의 취임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았다. 과학원 설립 초기 20년, 종합환경연구단지 이전 후 10년, 도합 30년이 지난 지금 과학원의 외형은 비대해졌지만, 환경전문 국립연구원으로서 위상을 충분히 정립하지 못한 채 시대적 상황에 따라 피동적으로 끌려온 세월이었다. 과학원의 전신인 환경연구소 설립 이후 현재 16대 원장에 이르기 까지 연구원장의 면면을 살펴보면 충분히 가늠해 볼 수 있다. 전직 연구원장들 중 3~4명만 환경연구분야 출신이고 그 외는 대부분 본부 국장급에서 진급하거나 공무원 최종 근무지로 머물다 가는 자리였다. 이들이 행정이든 어떤 형태로든 기여한 부분은 있겠지만, 환경연구에 애착을 갖고 연구원 발전과 국가를 위한 환경연구의 미래가치제고에 기여했다고 인정받을 수 있는 사람은 과연 몇 이나 될지 생각해 봐야 한다. 여기에 최근 5~6년전 체질개선, 개혁 등 이유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과학원을 재정립한다고 환경연구 자체를 송두리째 뒤흔들어 놓았다. 오랜기간 근무해온 연구원들 조차 업무를 파악하느라 혼란이 가중됐던 시기를 거쳤고, 다시 원점에서 재정립 하겠다고 노력했지만, 성과를 보기도 전에 또 새로운 원장을 맞았다.

 

과학원은 환경부 산하기관으로서 환경관련 각종 측정, 조사, 연구 및 분석 자료 등 모든 분야에서 통제를 받는다.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한 분야의 국가 전문연구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공직사회에 있어 업무상 불공정 처우뿐만 아니라 하급기관 공무원으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과학원은 국내 환경전문인 교육뿐만 아니라 해외 환경 전문교육의 요람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국립환경인력개발원을 출범시켰고, 다량의 민원 수요가 발생하는 측정, 분석분야를 환경관리공단에 위임해 관리공단의 성장에도 한몫 했다. 차세대에 부응하는 환경기술산업의 근간이 되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을 창립해 환경분야의 기술개발 및 산업증진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전국 시도보건환경연구원에 새로운 연구분야, 측정기술의 보급, 관리, 육성도 책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는 “국립환경과학원은... 우리가 처한 환경문제를 직시할 수 있는 신뢰 받는 국가 연구기관으로 새롭게 탄생하고 정립돼야 한다“고 지적받은 바 있다.

 

많은 전문가들이 과학원은 환경부에서 벗어나 총리실 산하 독립 연구기관이 되거나 정부 출연 연구기관으로 기본 형태에 변화를 갖고 재탄생 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과학원은 개혁, 체질 개선 등의 이유로 무시된 환경공학 분야 연구에 주력해야 하며, IT기술, 나노기술 분야 등 첨단 산업을 환경공학과 연결하고 시스템 분야도 새롭게 확립해 진정한 녹색성장을 추구하는 정부 정책에 부응해야 한다. 환경과학원, 새롭게 태어나려는가 이대로 가려는가.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