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조은아 기자] 제5회 ‘2010 대한민국 현대여성 미술대전’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수상자로 선정된 현천 김성자(72, 賢泉 金聖子) 화백은 한국화의 전통인 수묵담채 기법으로 자연의 아름다운 모습과 고향의 그리움을 생동감 있게 살려냈다, 올해로 등단 30주년을 맞는다.

 

김성자.

▲ 현천 김성자 화백은 제5회 '2010 대한민국

현대여성 미술대전'에서 한국화의 전통인 수묵

담채 기법으로 자연의 아름다운 모습을 담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정상급 화가들이 포진한 한국화 부문에서 김성자 화백은 고택(古宅)의 일인자로 꼽힌다. 현천의 작품 대부분은 고택을 함께 하고 있다. 개심사의 가을, 꽃동네, 종갓집, 창경궁의 가을, 향리 등 수많은 작품은 한국화 특유의 아름다움으로 지난 추억을 되살려온 안내자 역할을 했다.

 

봄날이 시작되던 지난 4월 초순, 미술시장의 한복판으로 불리는 인사동에서 노(老)화가 김성자 화백을 만났다. “100% 밀도 있는 고택을 그리고 싶었습니다”. 김성자 화백은 그림을 통해 이야기를 한다. 그것이 음악적이든 문학적이든 작품 속을 흐르는 자신만의 조형언어가 있다, 그의 작업은 형상과 본연의 조화에 앞서는 장식적 요소를 배제한다. 순연의 이치에 따른 자연의 얼굴을 소담스레 보듬어 내고, 진솔한 심상의 움직임을 따라 걷는 행보처럼 화폭을 가로지르는 순수의 정취가 흔적으로 묻어난다. 꾸미려 애쓰지 않은 화면구성이 바로 그렇다. 그의 미술인생을 관통하는 4가지 키워드는 자연, 고향, 수채화, 그리고 고택이다.

 

일상을 넘어선 창작의 길에 서 있는 작가는 양손에 감성과 지성의 균형적 무게를 감당하며 현실이라는 칼날 위를 걷는다. 그것은 결코 녹록치 않은 고통어린 시간과의 동행이다. 한국화가 김성자 화백의 자연은 삶과 예술이 부딪치며 만나는 소통의 창구이다.

 

2007년 고희를 기념하는 첫 개인전을 통해 선보였던 ‘구석(제11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대상)’은 빽빽이 들어선 도심의 건축물을 피사체로 설정했다. 그 가운데의 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묘사한 표현기법, 섬세하고 예리하게 화폭을 파내듯 완성해 낸 물상의 선과 면은 보는 이로 하여금 완벽에 가까울 만큼 도심구석의 건조물을 화폭에 담아냈다.

 

‘가을계곡(秋谷)’은 산자만홍(山紫萬紅)의 가을 색감이 산뜻할 만큼 주변의 단풍과 잡목 숲을 현장감 있게 그려냈다. 마치 비단을 펼친 듯, 단풍과 어울린 심산유곡의 장엄함을 보여줬다. 노송(老松)의 위용을 잘 드러낸 ‘솔향기(제1회 남농미술대전 입선)’는 날카로운 붓끝을 조각칼 삼아 하나하나 파내듯 작가의 재능을 한결 돋보이게 했다.

 

작가는 애정을 갖고 세상의 변화와 일상을 작품으로 개입하고, 작가의 감정을 춤추듯 표출시킨다. 그의 작품을 마주하면 우리가 습관처럼 갖고 있던 한국화의 경계가 무너진다. 이제 일흔둘의 나이로 현역화가 중 최고령의 반열에 들었다. 부족함을 치장하거나 감추려 하지 않는 그의 작품세계는 젊고 때 묻지 않은 청량감이 있다. 직설적이고 할 말은 해야 하는 성격 또한 상당 부분 작품에 스며있다.

 

현천의 서예와 사군자 실력은 30년 전, 송강 서도회전(松江 書道會展)을 통해 이름을 알렸다. 그것은 지금의 현천에게 큰 밑거름이다. “화가로 사는 것도 쉽지는 않아요. 미술작업에 전념한 후 사치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너무 이기적인 것은 아닌지 자책도 많이 했습니다” 사람들은 그의 속마음을 알 수 없지만 가족에 대한 미안함을 작품에 담았다.

 

“마음 한곳에는 그림에 매달려 사는 저를 무한히 지원해 준 남편에 대한 고마움이 있습니다. 바깥양반의 도움이 없었다면 오늘의 현천은 없을 겁니다”.

 

제2회, 환경미술대전 최우수상으로 등단

 

김성자 화백은 미술대학을 나와 정규 과정을 거친 화가가 아니다. 어느 날 자신과는 전혀 상관없을 것만 같았던 한국화가로 제2의 인생을 시작했다. 그의 선택에 큰 힘이 된 사람은 남편 안영승 회장이다. 그리고 현천을 위한 창이자 방패가 되어줬다.

 

묵시.
▲ 제9회 서울 미술전람회 대상작 '묵시'(130×164㎝).

 

그의 삶을 지탱하는 또 다른 버팀목은 가족이다. “아이들에게 어떻게 살라고 강요한 적은 없어요”. 무엇이든 스스로 선택하게 했다. “언제나 선택은 아이들의 몫이었죠. 그에 대한 책임도 자신이 갖도록 했습니다. 아이들에게 ‘공부 잘해서 성공하라’는 식의 말보다는 정직하게 세상을 살라는 것이었습니다.” 부모는 자식의 앞길에 흠이 없어야 되고, 자식 또한 집안의 명예에 누를 끼쳐서는 안됨 을 생활 속에서 가르쳤다.

 

젊은 시절 피겨스케이팅클럽의 선수로 활동하며 서울시가 주최한 ‘어머니솜씨 전시회(장려상)’ 참가, 서울 모범시민으로 선정돼 표창도 받을 만큼 오랜 세월 그의 봉사활동은 게으름이 없었다. 그러나 뇌종양 선고 후 생을 정리하는 마음으로 천주교로 귀의했고, 늘 기도하면서도 작품 활동을 중단하지 않았다. 서강대 박고영 신부님과 영원한 도움회집 최레지나 수녀의 기도는 새 생명을 주셨고, 김 화백은 지난날 죽음을 극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듯 창작활동의 완성을 위해 지금도 열정을 다한다.

 

이번 2010 현대여성미술대전 수상작 ‘동대문’은 이제 사라질 서울도심의 한 부분을 그려 넣음으로써 그동안 고집해 온 고택과는 시공간이 색다른 작품이다. 이번의 수상으로 인생의 화룡점정(畵龍點睛)을 이뤘다. “인생을 살면서 삶의 가치를 어디에 두느냐 에 따라 느끼는 행복도 다른 것 같아요. 제가 그림을 그리는 이유는 꿈을 이루기 위해서입니다”. 그는 그림을 그리면서 자그마한 힘이라도 펼 수 있다면 어려운 이웃을 돕는 나눔의 삶을 살고 싶어 한다.

 

[작가 소개]

현천 김성자 화백은 1938년 경기 용인 수지 태생이다. 산수의 대가인, 낙봉 이학상(洛峰 李學相) 선생을 스승으로 동양 산수화를 이수했고, 석포 노달수(石浦 盧達秀)선생의 사숙에서 한국화를 익혔다. 모든 화가들은 통과의례처럼 산수화 작업을 한다. 그 치열함 속에서 김화백은, 제1회 환경미술대전 특선, 제2회 환경미술대전 최우수상, 한국 국제문화 미술대전 동상을 거치며, 도심의 일부를 극세필 기법으로 사실감 있게 묘사한 ‘구석(제11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대상)’, ‘묵시(제9회 서울 미술전람회 대상)’를 통해, 중견작가로 확고한 자리매김을 했다. 현재 한국미협-구상회-산채수묵회-현대여성미협 회원이며, 봉림회 회장으로 있다.

 

< 글·임헌배 - 자유기고가 >

 

lisia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