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1_pic_0704_big.
▲ 에코프론티어 김성규 팀장
최근 녹색시장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며 새로운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다. 녹색성장이 추진된 배경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규제 논의가 본격화되고, 에너지 고갈에 대한 우려, 글로벌 환경규제가 증가하면서 더욱 녹색성장은 본격화되고 있다.

 

EU에서 2012년에는 130g/km이지만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95g/km로 감소할 계획으로 미달시에는 제작사에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국제 시장에서 무역 규제가 강화되면서 녹색사업을 우리나라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도 녹색성장은 더욱 커지고 있다.

 

만약 우리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녹색위원회 발표 자료에 따르면 GDP의 최소 5%의 경제적 손실과 국민 건강, 생활여건 훼손 등 간접 손실까지 더해져 GDP의 최대 20%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녹색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녹색산업의 준비가 철저히 필요하다.

 

2007년 773억 달러였던 신재생사업 규모는 10년 뒤인 2017년에는 3배가 증가한 2549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명박 대통령은 2010년 신년 국정연설에서 ‘저탄소’를 우선가치로 삼아 녹색성장 국가전략 10대 정책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 

 

현재 국가가 녹색경영 비전 및 추진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는 중점 과제는 녹색경영 촉진 기반 구축, 중소기업 녹색경영 역량 강화, 기업간 녹색경영 파트너십 확산, 녹색경영 저변 확산이다.

 

이미 우리나라의 대기업들은 녹색경영을 선점해 앞서 나가고 있다. 대기업들은 녹색구매 유도, 협력회사 지원, 탄소성적표지 등 다양한 방법으로 녹색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유한킴벌리의 경우 협력회사의 지속가능 보고서의 발간을 지원하고 품질교육, 에너지진단, 환경관리시스템 구축 등 상호간의 상생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대형 유통업체에서는 탄소성적표시을 제품에 기재하는 등 제품의 환경부하량 표시가 증가하고 탄소 인증 제품에 대한 프로모션으로 판매를 촉진하고 있다. 일반 제조기업들도 제품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비롯해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이제 중소기업의 차례이다. 중소기업도 대기업과 발맞춰 시대의 흐름인 녹색경영에 나서야 한다. 그러기 위해 중소기업에 제안하는 방안은 네 가지다. 먼저 녹색경영지표 관리이다.

 

피터 드러커(Peter F. Drucker)는 “측정할 수 없으면 개선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경영관리지표, 현장운영지표 등을 작성해 정량적인 목표를 부여하고 녹색경영에서 요구하는 개선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녹색경영 추진과정에서 어려운 점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전략적으로 마련할 수 있어 대기업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녹색경영에 대한 대응과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두 번째는 온실가스 관리이다. 중소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대부분은 에너지 사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에너지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공압 사용, 냉·난방, 조명시설 등 주요 에너지 사용 시설에 대한 감축 옵션을 도출하고 한계 감축 비용과 일회 온실가스 감축량을 기준으로 사업장에 적용할 개선 활동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 번째는 유해물질 관리이다. EU에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유해물질 관리가 강화되고 있다. 유럽은 화학물질(REACH), 전자제품(RoHS), 자동차(WEEE) 분야의 환경규제를 강화하고, 중국·일본도 전자제품 유해물질 관리법을 강화됐다. 이에 대기업들은 충분한 관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 녹색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현대차의 경우 e-CMS를 구축해 4대 중금속 관리, IMDS 데이터 연계, 환경법류 모니터링 등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중소기업들도 주요 환경 규제를 극복하기 위해 BoM 차원에서 MSDS 및 시험 성적서 등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자사 공정에서도 RoHS 대응 공정과 비대응 공정을 분리해서 운영하는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은 녹색제품 생산이다. 녹색경영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다. 녹색제품의 개발 및 마케팅 붐은 전세계적인 조류이며, 우리나라 역시 관련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저탄소 제품에 대한 구매 의향율은 89.6%로 높은 편이다. 친환경 제품이나 재생용지를 사용한 제품, 음식물 쓰레기 처리 기술을 활용한 제품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중소기업이 녹색경영을 추진한다는 것은 버거울 수 있다. 대기업만큼 데이터 베이스가 마련되지 않았고, 무엇부터 해야 할지 모르는 게 태반이다. 이에 중소기업청을 비롯한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에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중소기업청에서는 ‘쿠폰제 컨설팅’을 비롯해 SCEm 사업이나 지역에코혁신사업 등 중소기업의 녹색경영을 직접 돕고 있다. 올해부터는 G-SCM 사업,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사업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제 녹색경영은 거스를 수 없는 큰 흐름이며, 더는 대기업만의 영역도 아니다. 우리 경제의 주축을 이끄는 중소기업이 녹색경영의 새로운 영향력으로 등장해야 할 시기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