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수정_사진
온실가스 감축과 물 절약 ‘일거양득’

도시계획단계에서 활성화 방안 도입

 

기후변화는 강우 패턴에 교란을 가져와 홍수와 가뭄의 발생 가능성과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홍수와 가뭄과 같은 기상재해는 그 발생빈도와 피해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하천에서의 취수율이 높아 가뭄이 들 경우 물 부족에 대한 부담이 크며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불투수층의 증가는 집중호우 시 갑자기 많은 양의 빗물이 흘러 홍수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건기에는 하천의 건천화를 초래하고 지하수 수위저하를 초래하는 등 기후변화에 취약한 실정이다.

 

빗물을 저류해 용수로 활용하는 것은 처리에 소요되는 에너지 사용량을 줄여 온실가스 배출 감축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장거리 물 수송에 따른 에너지 소모가 많은 편인데, 빗물을 이용할 경우 물이 수송되는 거리를 줄여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렇게 빗물을 저장하고 이용하는 것은 홍수와 가뭄에 대비하는 기후변화 적응방안이 되나 우리나라의 지형과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하면 빗물을 활용하기가 쉽지만은 않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상당부분이 경사지이기 때문에 내리는 비가 빠른 속도로 흘러내려가 유실되기 쉬우며 또 상당 부분이 화강암으로 구성돼 빗물이 지하로 침투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땅 위에 떨어지는 비를 가능한 많이 포집해 수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특성에 맞는 적합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기후변화대응책으로서의 빗물 활용 확대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자면 첫째, 빗물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빗물이 중요한 수자원이라는 인식의 확산이 필요하다. 빗물사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양질의 수질이 필요하지 않을 때 빗물을 사용하는데 거부감이 없도록 빗물의 환경적 건전성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우리나라의 기상과 지형지질적 특성을 고려한 빗물이용 기술과 일반시민들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및 보급하고, 빗물관리 시설 설치를 확산시켜 나가야 한다. 즉 공공건축물이나 공원 및 골프장 같은 곳 이외에 일반 가정에서도 건축물에 중소규모의 물탱크를 구비해 강우 시 저장했다가 조경수 등의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홍수와 가뭄에 대한 대비도 되고 수처리와 물 운송에 들어가는 에너지를 절약해 간접적인 온실가스의 감축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용수량이 많은 농촌지역의 경우 빗물저장고를 가뭄 시 농업용수로 활용하는 전략도 필요하다.

 

셋째,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빗물저류와 이용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 특히 시도시의 설계 시 빗물이 최대한 활용될 수 있도록 계획단계에서부터 빗물 활용에 대한 부분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비록 우리나라와 지형과 지질조건이 다르기는 하지만 일본의 경우처럼 도시에 대규모의 저류지를 조성하는 것도 고려해볼 가치가 있다.

 

넷째, 빗물 이용의 활성화가 국가 및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립에 반영돼야 한다. 홍수와 가뭄은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가능성이 높은 재해이며 기후변화로 초래되는 강우강도의 증가는 홍수와 가뭄에 더욱 취약하게 한다. 빗물을 저장하는 것은 가뭄에 대비할 수 있는 소중한 수자원을 확보하는 것일 뿐 아니라 집중호우 시 유출강도를 낮춰 예방에도 도움된다.

 

마지막으로 관련 법제의 강화가 필요하다. 빗물을 친환경적으로 이용해 수자원을 확보하고 가뭄재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법률을 제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앞으로 빗물 관리에 대한 관련 법규를 강화하고 빗물이용시설 설치 대상을 확대해 빗물이용을 통해 기후변화에 점차 적응해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는 물 순환체계에 교란을 가져와 홍수나 가뭄과 같은 자연재해에 더욱 취약하게 한다. 빗물을 활용하는 것은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지 않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홍수와 가뭄 모두에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이다. 특히 가뭄에 대한 대비는 무엇보다 물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기간의 가뭄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물 절약운동으로 이겨낼 수 있으나 장기적인 가뭄에 대한 대비책은 될 수 없다.

 

가뭄에 대한 대비책으로 대형댐의 건설이 거론되기는 하지만 댐 건설은 환경적 피해와 댐 건설 지역의 주민들과의 마찰 등 해결하기 쉽지 않은 여러 복잡한 문제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강우 시에 빗물을 포집하는 빗물의 활용은 홍수에 대한 대비뿐 아니라 환경파괴나 사회적 분쟁을 초래하지 않은 자연 순응적인 가뭄 대비방안이 된다. 또한 수처리와 수송과정에서 소요되는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빗물은 자원이다. 소중한 자원을 더 이상 그냥 흘려보내지 말고 지혜롭게 이용할 수 있는 빗물 저장과 관리기술의 개발 및 빗물 이용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제도가 시행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