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이진욱기자] 최근 환경산업기술원이 주최한 ‘한-베트남 그린 파트너십 포럼’이 최근 서울 가든호텔에서 개최됐다. 베트남 환경 전문가의 역량 강화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확대되고 한국과 베트남 간 환경 교류가 활발해질 전망에 따라 마련된 행사였다. 이에 베트남 환경분야 전문가로 초청된 베트남 하노이 인민위원회 뷔 띠 안(Bui Thi An)위원을 만나 베트남의 향후 환경분야 계획 등에 대해 들어봤다. <편집자주>

 

개발파트너 한국, 다양한 지원 기대

환경관련 특정비용 산정해 상향 조정

 

뷔띠안
베트남 하노이 인민위원회 뷔띠안 위원
Q. 현재 베트남 환경분야에 당면과제는 무엇인가.

A. 베트남은 전국적으로 많은 산업 단지가 생기고 GDP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산업화로 인한 후유증이 생겼다. 각종 오염들은 국가 발전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으며 공업화로 인해 폐기물 방출량이 많아지고 수질과 강 오염이 심각한 상태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환경 보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해 환경 분야 예산도 점점 늘려가는 상황이다. 또한 전반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이 낮고 환경과 기후변화를 계획 입안에 연계하는 것을 도와줄 기구도 턱없이 부족하다. 기후변화에 대한 각 부의 기능이 분명하지 않고 상호 간 조화성도 떨어지며 기후변화에 대한 각 부처의 기능과 천연자원 사용 등의 조정문제가 과제로 남아있다.

 

Q. 베트남 정부가 환경에서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A. 수질오염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800만 인구가 살고 있는 호치민시의 경우, 동나이 강을 상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 강의 상수원에는 53곳의 공업단지가 있으며 심지어 살충제, 비료, 비누를 만드는 데 쓰는 원료를 생산하는 공장들도 있어 매일 방대한 양의 폐수가 배출된다. 동나이 강 유역은 여러 가지 영향으로 심각하게 오염돼 있으며 일부는 벌써 ‘죽은 강’이 돼 버렸다. 최근 환경조사에 따르면 호치민 하수시스템은 심각한 오염 상태가 지속될 것이라고 한다. 또한 위해폐기물로 인한 문제도 많다. 아직까지 호치민시는 위해폐기물을 처리하는 전용 매립장이 없다. 현재는 4개 민간 기업이 주로 담당하지만 처리능력은 폐기물 발생량의 10%를 가까스로 충족시키는 상황이다. 수만톤의 위해폐기물이 발생지에 남아있다.

 

Q. 한국과의 환경분야 협력 현황은 어떤가.

A. 베트남 경제에 있어서 한국은 주요 5대국가 중 하나이며 주요 수출 10개국에 포함돼 있다. 여러 분야에 한국의 투자가 많이 들어오고 있다. 하지만 한국이 투자하는 다른 분야에 비해 환경 분야는 미약한 편이다. 지금 한국이 지원하는 사업은 급수공장 건설사업이 대표적이다. 또한 한국 정부는 전문 인력양성 사업도 지원하고 있다.

 

지난 5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국내 환경산업체의 베트남 환경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우수환경기술 및 설비 등을 베트남에 홍보하기 위해 베트남도시환경공사(URENCO)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기술원은 국내에서 개발된 폐기물 관련 환경 신기술과 폐기물 처리장 운영경험 등을 베트남도시환경공사에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베트남도시환경공사도 폐기물 관련 각종 최신 통계자료와 본사 및 자회사에서 발생하는 입찰·구매정보, 장기사업계획 등 최신 정보를 환경산업기술원에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다양한 포럼이나 세미나를 통해 더욱 많은 투자와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 기대한다.

 

Q. 한국 환경산업체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A. 베트남은 문화적 측면에서 한국과 유사한 점이 많다. 20여년간 양국은 끈끈한 관계를 이어왔다. 1992년 한국과 베트남은 수교를 했고 2004년에는 양국 환경부가 MOU를 체결해 환경 전문가 교류 등의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해 왔다. 짧은 시간에 경제 선진국의 반열에 올라 선 한국의 저력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한국 환경기업이 보유한 선진 환경기술로 베트남에 많은 지원과 투자를 함으로써 양국이 더욱 친밀한 국가로 발전해 나갔으면 한다.

 

Q. 추후 베트남 정부의 환경분야 계획은 무엇인가.

A. 정부가 환경 보전을 위한 예산을 늘려 갈 것이다. 경제와 환경보전을 함께 추진하는 방향이 필요하다. 2006년부터 환경보호를 위한 별도 예산이 국가 총예산의 1%를 넘지 않았지만 지난해부터 2015년까지 국가환경보호에 대한 투자를 국가 총예산의 1% 상당으로 잡았다. 또한 자연환경 부문을 경제부문으로 발전시키는 정책을 수립할 것이며 환경과 관련된 각 법률은 비용을 산정해 특정비용은 상향 조정하고 조세 부담 항목을 늘려갈 것이다. 하지만 이것으로 각 환경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부족하다. 개발 파트너로부터 보다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

 

showgu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