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1419-31.
▲김병하 국장
[환경일보 한선미 기자] 2009년 2월부터 도시 기본계획을 하는 데 있어 승인권한이 정부에서 지자체로 이양됐다. 최근 서울시는 2030 도시기본계획을 발표하며 지자체 처음으로 자체적으로 도시계획을 추진하게 된다. 이에 서울시 도시계획국 김병하 국장으로부터 ‘2030 도시기본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Q. ‘2020도시기본계획’과 차이점이 있다면?

 

A. 이전까지 도시개발은 정부 주도 개발로 종합계획 성격이 강했다. 12개 부문별 계획이 남겨 있어 그 분량도 680페이지 이내로 매우 방대한 보고서였다. 하지만 ‘2030 도시기본계획’은 승인권한 이양에 따라 실질적인 내용으로 압축하고 개편했다. 형식도 시정 중심 계획서로 알기 쉽게 했으며 4개 핵심이슈 중심의 전략 계획와 권역별 공간계획 기능 강화를 다루고 있다. 또한 주요 정책지표 설정 및 모니터링 강화에 초점을 뒀다.

 

Q. 서울시 개발이 도심과 강남권에 국한돼 있었는데.

 

A. ‘2000 도시기본계획’에서는 강남북 균형발전이 주요 이슈였고 ‘2011 도시기본계획’에서는 상암, 용산 등 개발 구상이 주요 이슈였다. ‘2020 도시기본계획’은 청계천 복원 및 행정기능 이전 등 도시계획을 통해 서울의 성장 단계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그 동안 서울시 도시개발은 도심과 부도심 중심의 개발로 도심과 강남축을 중심으로 개발돼 왔다. 하지만 고령화와 1~2인 가구가 증가하고 경제적 위상이 약화되면서 생활권별 균형발전이 필요해졌다.

 

이번 ‘2030 도시계획’에서는 1도심-5부도심-11지역중심으로 광역화에 대응한 다핵분산형 공간구조로 생활권을 배분했다. 이로써 서울 대도시권 차원의 다핵연계형 공간구조를 구상하고 도심, 영등포, 강남을 3핵으로 하는 공간구조로 개편할 계획이다.

 

3핵을 뒷받침할 용산, 청량리·왕십리, 상암·수색 지역이 부핵역할을 하며, 망우, 창동·창계, 연신내·불광 등 8곳을 광역연계거점지역으로 미아, 신촌, 공덕, 목동, 잠실을 지역거점으로 지정해 50지구 중심의 도시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개발을 바탕으로 서울 대도시권 차원의 중심기능이 특화되고 도심, 강남에 국한됐던 광역 발전축이 다변화되는 등 다핵연계형의 공간구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Q. 인천, 수도권과의 연계도 고려하고 있는지.

 

A. 앞서 말했던 지역 중 광역연계거점은 고용기반 및 수도권 배후 도시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곳이다. 이 지역에는 광역 환승 및 내부 유입교통을 흡수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경인, 동북, 서북, 서남, 동남 축으로 나누는 지역은 지역별 특화육성을 통해 서울은 물론 인근 지역도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경인축은 서울·인천 경제중심지 연계해 글로벌 비즈니스 기능을 확충하고 도심에서 청량리·왕심리, 장동·상계로 이어지는 동북축은 산학연계를 통한 수도권 동북부 고용기반을 강화할 것이다.

 

도심에서 신촌, 상암·수색으로 이어지는 서북측은 디지털 창조문화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도심, 영등포를 잇는 서남축은 광명, 시흥 등과 연계돼 R&D·생산을 연계하는 첨단산업벨트를 구축할 계획이며 도심, 강남, 분당·장지로 이어지는 동남축은 글로벌 지식서비스 기능을 확충할 것으로 보인다.

 

Q. 도시개발에 있어 저탄소도 매우 중요한 이슈다.

 

A. 이번 도시계획에서 시민의견을 받아본 결과 서울 미래상에 대해 시민 45.5%가 친환경도시를 예상했다. 이에 서울시는 핵심이슈를 경쟁력 있는 글로벌 서울, 매력 있는 역사문화 서울, 함께 사는 행복 서울, 친환경 녹색 서울로 선정했다.

 

특히 친환경 녹색서울의 경우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녹색도시 구현 및 깨끗하고 안전한 녹색공간 창출에 집중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온실가스를 40% 절감 및 역세권 중심의 에너지절약 공간구조로 서울시를 전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역세권 고밀복합화, 녹색교통기반 확충에 나서고 자원순환형 도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이용을 확대하고 건물 에너지 절약에 나선다.

 

또한 녹색공간을 창출하기 위해 깨끗한 공기 및 물 환경을 조성하고 녹지 확충을 위한 그린네트워크를 강화 및 친수문화 공간 창출을 위한 수변네트워크 확대를 계획했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비한 종합방재 시스템을 구축해 폭우 및 폭설에 대비할 계획이다.

 

Q. 도시계획에 시민 의견이 들어간다고 들었다.

 

A. 다양한 의견 수렴과 시민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실현기반을 강화하고자 한다. 자치구 및 인접 지자체와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행정적인 실현수단을 확보하고, 공간시책의 모니터링과 도시계획 체계의 보강으로 지속가능한 서울을 구현하고자 한다.

 

공청회를 개최해 시민의견을 반영하고 시의회 의견 청취하고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6월에 도시계획을 확정지을 계획이다.

 

freesmha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