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a164xa
[환경일보 조은아 기자] TV를 켜면 하루에도 수십번, 건설업체 광고를 만날 수 있다. 광고 내용을 보면 상당수가 바로 ‘자연 속에서 사는 삶’을 표방하고 있다. 광고만 봐도 이제 사람들이 차가운 콘크리트가 아닌 물이 있고 나무가 있는 자연에서 살기를 바라는 마음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해 핵발전소 문제, 재생에너지, 대안교통의 문제 등 다양한 이슈를 제기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의 분야가 바로 건축 분야이다. 현재 건축물은 전 세계 자재의 40%를 차지하고, 에너지부문은 유럽에서는 전체에너지 소비의 40%, 국내는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건축물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줄이지 않고서는 지구온난화 방지는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최근 유럽에서는 단열, 기밀, 3중 유리, 열교환기술 등을 통해 열손실을 줄임으로써 난방에너지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인 혁신적인 건축방식인 ‘파시브하우스’가 확산돼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해 변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도 ‘파시브하우스’와 같은 형태의 건축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몇몇 소수의 경제력 있는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단어조차 생소한 ‘파시브하우스’를 도입하기에 앞서 우리나라 건축 현황을 돌아보고 그에 대한 정책을 보완하는 것이 급선무이지 않을까. 실제로 농촌지역에서는 겨울철 에너지 효율은 떨어지고 에너지 비용은 높은 구조의 집으로 인해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광범위하게 확산돼 있는 저소득층 가구들 그리고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오래된 건축물 등 현실적으로 먼저 해결해야 할 건축대상들이 산재해 있다.

 

건축분야에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서는 먼저 이런 부분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며 현실적인 정부정책 강화가 우선돼야 한다. 과거에 비해 ‘건축’이라는 분야가 투기에서 삶의 터전으로 많이 변화하고 있는 만큼 지속가능한 건축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실질적인 해법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lisia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