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영애 기자] 우리나라의 결핵환자 발생률과 사망률이 10년째 OECD 국가 중 1위라는 불명예를 씻기 위해 범국가적으로 결핵 퇴치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결핵 조기퇴치를 위해 팔을 걷어 붙였다. 최근 3년간 서울시의 결핵환자 신고·등록자 수가 2008년 12,486명, 2009년 14,065명에 이어 2010년에는 14,960명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88명(서울시 72명)으로 일본 22명(4배), 그리스 5.5명(16배), 미국 4명(22배)에 비해 훨씬 높고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다. 후진국형 감염병으로 알려진 결핵이 줄어들지 않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결핵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치료를 끝까지 받지 않고 증상이 완화되면 스스로 치료를 중단하거나 의사의 처방대로 약을 복용하지 않고 임의로 먹다 말다를 반복하다 재발되는 경우, 결핵감염 사실을 알리지 않고 격리 없이 학교나 직장생활을 하면서 주변 사람들에게 감염시키는 사례 등 결핵을 사라진 질병으로 알고 예방과 검진을 소홀히 해 온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다보니 웬만한 약제에도 반응이 없는 다제내성, 광범위내성 등의 난치성 결핵으로 발전되고, 신환자 중에서도 처음부터 다제내성 결핵균에 감염되는 사례가 상당 수 있어 그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외국인 건강상담모습.
▲외국인 건강상담모습
서울시는 이러한 문제점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결핵 안전지대’를 목표로 약 19억원(국비 9억 2천만원 포함)을 들여 결핵환자 접촉자 검진, 입원명령환자 의료비·부양가족 생계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우선 서울시는 결핵의 조기발견과 전파경로 차단을 위해 결핵환자의 가족, 동거인, 학교나 직장 동료 등 집단·공동체 내 접촉자 검진을 철저히 하고, 일반 시민들에게도 증상이 의심되면 가까운 보건소에서 반드시 검진(무료)을 받도록 적극 권고하고 있다. 또한 결핵에 감염된 환자 지원 사업도 전례없이 강화해 추진한다. 2011년 4월부터 국가에서 추진하는 ‘결핵검진 및 결핵환자 의료비 및 부양가족 생계비 지원(결핵검진 및 결핵환자 지원 현황 참조)’ 외에 서울시가 별도의 예산(4억)을 확보해 추진하는 사업은 저소득층 결핵환자 중 고가의 약제비가 드는 다제내성 결핵환자 입원 치료비와 약제비(본인부담금 전액)를 지원하고, 의료 사각지대에 있는 노숙인, 외국인근로자, 취약계층에 대해서도 결핵검진 후 유증상자로 판별되면 외래 및 입원치료비를 지원한다.

 

 또한 서울시 소재 고등학교 학생(2,3년생) 12만명과 대학생 2만명을 대상으로 순회 이동검진(대한결핵협회 중앙지회 위탁)을 실시해 환자발견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수도권 유일의 결핵치료 전문병원인 ‘서울특별시서북병원’ 에 결핵환자 입원병실(222병상)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서울시가 ‘결핵잡기’에 주력하는 이유는 10대(중·고교생)에서 노인까지 전 연령층에서 결핵환자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고, 다제내성, 광범위내성결핵 신환자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 모현희 보건정책과장은 최근 들어 폐질환 환자의 사망사건이 자주 보도돼 시민들의 불안이 커질 수 있음을 우려하면서 “결핵은 환자의 의지와 협조만 있으면 완치 가능한 질병으로 의사로부터 ‘완치판정’을 받을 때까지 반드시 복약 수칙을 지키고, 감염력이 있는 경우 균음전이 될 때까지 격리치료를 받아 주변사람들에게 감염되지 않도록 해 달라”는 당부와 함께 결핵환자 가족은 물론 일반시민들도 정기검진 등을 통해 감염여부를 자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