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e98860
[환경일보 조은아 기자] 더운 여름 수박 한통 사러 마트에 갔더니 수박 한통에 1만8000원이다. 살까 말까 한참을 고민하다 내려놓고 1만원하는 반통짜리 수박을 샀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한여름 수박 한통은 1만원을 넘지 않았었는데. 고물가시대를 실감케 한다.

 

현재 전 세계 작황부진으로 인한 국제곡물가격 상승, 유가상승 등으로 식품가격이 크게 상승하고 있으며, 가공식품 역시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인한 원가부담으로 연초부터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최근 발생한 구제역 및 AI와 기상악재 등으로 식품가격 상승에 비상이 걸렸다. 이와 관련해 많은 전문가들은 유통구조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제유가 상승, 국제 곡물가격 상승 등은 우리가 직접 해결할 수 없는 만큼 국내 식품 유통과정 상에서 발생하는 비용이라도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포장비용, 그중에서도 과대포장에 대한 문제는 오래전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음에도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또한 식품안전관리비용의 경우 원산지표시방식이 바뀌면 포장재도 변경해야 함에 따라 포장재 변경으로 인한 비용 등도 원가상승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포장재 변경으로 인해 평균16.6%의 원가상승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제품안전을 위한 포장만을 남기고 거품은 빼는, 그리고 식품안전과 관련해 잦은 원산지표시규정 개정 지양 등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

 

시대가 많이 바뀌고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이제 밥 못 먹고 사는 시절이 아니라고는 하지만 어쩌면 다시 ‘밥 못 먹고 살겠다’라는 말이 나올지도 모르겠다. 이는 운이 나쁜 농축산인들만의 문제도 아니고, 물가를 잡지 못했다는 정부의 탓만 해서는 안 된다. 각 분야 모두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결해야 하지 않을까.

 

lisia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