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예방 및 생산성 향상 위해 기상정보 활용돼야

기상청, 장기예보 서비스 사업 등 피해 최소화 도모

 

조주영 국장.
▲ 기상청 기후과학국 조주영 국장
올 여름철은 유난히도 비가 많이 내렸다. 1년 동안 내릴 비가 3개월 만에 다 왔으니 말이다. 세계 곳곳에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폭염·열대야, 한파·폭설, 가뭄·집중호우 등과 같은 ‘이상기후’가 예전보다 자주 강하게 발생하고 있다.

 

올해 초 세계기상기구(WMO)는 지난해 전 지구 평균기온이 2005년과 더불어 20세기 평균보다 0.6℃ 높은 14.5℃로, 전 지구의 관측이 시작된 1880년 이래 가장 더운 해이며, 특히 북반구가 남반구보다 높았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도 지난 100년간 1.8℃가 상승해 세계 평균 0.75℃보다 2배를 상회했다.

 

이 같은 지구온난화는 우리나라 주변의 기류 흐름을 자주 변화시켜 매년 극한 기후(Extreme climate)의 발생 횟수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2010년에는 과거 30년보다 폭염일수는 2.3일이 증가한 10.5일이었고, 열대야 일수는 7일 증가한 12.4일이었다. 시간당 30㎜ 이상의 폭우 발생 횟수도 1980년대 44회에서 2011년에는 133회로 약 3배 증가했다. 한편, 지난겨울 12월24일부터 1월31일까지 39일간 전국적으로 한파가 지속됐고, 2월에는 강원도 영동에 100년 만에 폭설이 내렸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는 어느새 일상화가 됐으며 도시화·산업화·정보화로 복잡해진 사회 환경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주는 새로운 국가적 재난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 재난방지 등을 위해 이상기후 발생 현황과 발생 가능성 예측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지난 3월 일본 원전사고로 유출된 방사성 물질의 이동 추적, 7월 서울 도심 속 산사태와 물난리, 9월15일 대규모 정전사태 등을 고려할 때 기상정보의 활용이 국가적 재난관리의 선제적 위치에 있음을 확인한 사건들이었다.

 

최근 미국의 경우 지난 5월 미시시피강 홍수 시에 범람으로 인한 대규모 재난 방지를 위해 물길을 우회하는 조치, 8월 허리케인 ‘아이린’의 내습 시 대통령의 직접 국가 재난 선포 등을 보면서 선진국형 기상재난관리의 국가적 시스템 작동이 인상적이었다.

 

이제 우리나라도 기상정보를 에너지, 교통, 통신, 수자원, 농업, 산업, 환경, 보건 등과 같이 다양한 사회·경제 전반에 걸친 피해 예방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기본 응용정보로 활용해야 한다. 우선 분야별로 이상기후에 영향 받는 요소를 선정하고 이와 연계돼 작동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폭염·한파 발생 시 에너지 수급 관리와 건강관리, 가뭄·홍수에 대비한 수자원 관리 대책 수립 등에 날씨정보와 이상기후 예측 정보를 고려하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 인간 활동으로 만들어진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해 지구온난화 방지에 노력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IPCC의 주관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지구의 기후변화시나리오를 과학적 근거로 만들어 100년이 경과되는 과정에서 모든 사회·경제 분야의 ‘이상기후’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온난화에 의한 이상기후의 발생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므로 이러한 이상기후에의 피해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기간의 기상정보를 고려한 현재와 장기간의 기후예측 정보를 고려한 미래의 국가적 위기관리 체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상청은 이를 위해 2012년부터 ‘이상기후 대응을 위한 장기예보 서비스 체계 구축’ 사업을 기획하고 있다. 2012년에는 이상기후 확률예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선진 장기예보 생산체계를 구축·운영하고, 장기적으로는 이상기후 조기경보 체계 구축 및 수요자 맞춤형 장기예보 사용자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품질의 장기예보 정보생산 체계를 개선하고 공간적으로 보다 자세하고 보다 긴 시간규모로 정확한 기후예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상청은 국가적인 이상기후 대응 역량을 높여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한 심각한 이상기후에 대한 재난 방지와 사회·경제적인 피해 최소화를 도모하고, 나아가 국민 편익의 증진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