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b41317
[환경일보 조은아 기자] 중국의 멜라닌 우유, 불량 만두 및 김치 파동 등 최근 전 세계적인 대량생산과 대량유통, 대량소비가 확대됨에 따라 그 결과 먹을거리와 관련된 안전사고들이 속출하고 있다. 이런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전을 확보하고자 ‘로컬푸드’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로컬푸드’는 장거리 운송, 다단계 유통을 거치지 않은 지역 농산물을 말하는 것으로, 유통단계가 매우 간소화되기 때문에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신선한 농산물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생산자는 유통비용 절감으로 농산물 제값 받기가 가능해져 최근 지자체들을 비롯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통단계 최소화, 농민 실질적 소득 보장

 

로컬푸드시스템은 여러 가지 형태로 이뤄지는데 그중 특정장소에서 정해진 날짜에 생산자, 소비자가 직접 대면하면서 거래하는 ‘농민장터’, 마을에서 재배한 다품종 소량의 제철농산물을 꾸러미로 배달하는 ‘제철꾸러미 사업’, 지역산 친환경 농산물을 초·중·고등학교 학교급식에 공급하는 ‘친환경 학교급식’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하지만 기존에 형성된 로컬푸드 시스템은 아직까지 ‘소비자운동’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사례가 대부분으로, 발생되는 형태가 제한적이고 단편적이라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소비자 운동’의 차원을 넘어 ‘시장개척’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글로벌 푸드와 차별화된 블루시장을 확보하고 로컬푸드가 가진 웰빙 트렌드, 식품안전성, 단순 유통구조 등의 장점이 유효한 시장확보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로컬푸드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물량확보나 연중 조달을 위한 공급능력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공급’차원의 문제해결도 과제로 남아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2008년 친환경 농산물 시장규모는 3조2000억원으로 전체 농산물 시장 규모의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2007년 2조1800억원보다 46.5%가 증가한 규모이다. 또한 향후 2015년에는 4조9216억 원, 2020년에는 7조676억원으로, 전체 농산물 시장 규모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로컬푸드의 대표적인 친환경 농산물의 수요는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그에 대한 공급능력 확보에 대한 해결방안도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민·관의 유기적 연계 및 협력 필요

 

실제 강원도 원주의 ‘새벽시장’의 경우 연간 22만명이 방문하는 대규모 농민장터로, 지역에서 직접 재배한 채소와 나물, 유정란, 과일 등을 판매해 2009년 기준 연 80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새벽시장 관광코스 개발 등 편의시설을 제공해 2010년 농림수산식품부 우수시장으로 선정됐다.

 

강원발전연구원의 지경배 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정책자료를 통해 “로컬푸드가 유통마진이 생산자에게 귀속돼 농민의 실질적인 소득창출에 기여함으로써 이농문제 해결은 물론 상대적으로 비교열위에 있는 소농, 고령농, 여성농에게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소득 및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지 연구위원은 “로컬푸드 시장은 민·관의 유기적 연계와 협력에 의해 확대 및 안정화되는 만큼 ‘만들어지는 시장’이 아닌 ‘만들어가는 시장’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국민의 먹을거리 안보, 복지를 위해 국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시장확대를 위한 사회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lisia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