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박종원 기자 = 남극해양보호구역에서 나라마다 중요한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좀 더 넓은 보호구역 설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한 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단일종 관리만이 아니라 통합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함께 나왔다.

 

시민환경연구소와 남극해보존연대(AOA)가 7월 남극조약 협약당사자 회의(ATCM)와 10월 남극해양생물보전위원회 회의(CCAMLR)에서 주요 의제로 다뤄질 해양보호구역 설정의 배경과 주요 이슈를 알리는 ‘제30회 시민환경포럼’을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했다.

 

“한 종이라도 멸종하면 모든 종 감소”

 

img_6759 copy.

▲ 남극 조류생태학자 그랜트 발랄드 박사는 “어느 한 종이라도 멸종하면 먹이사슬로 인해 모든

종들의 수가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극 조류생태학자 그랜트 발랄드 박사는 천연 극지 해양생태계에서의 중간포식자의 공존에 대한 주제발표에서 “남극의 로스해는 지구상에서 변형과 파괴가 가장 적게 일어난 해역”이라며 “주로 공생관계의 해양조류와 포유류들의 상호교류가 활발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다른 지역보다 다양한 포식자들이 서식하고 있다”라며 “한 종이라도 멸종하면 먹이사슬로 인해 모든 종들의 수가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남극 이빨고기(Dissostichus mawsoni)를 먹고 사는 범고래 개체수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범고래의 중요한 먹이감인 남극 이빨고기의 양과 크기가 감소하고 있다”라며 “이에 따라 범고래의 목격빈도와 수가 계속 줄고 있어 현재의 남극 이빨고기 관리방법은 범고래 개체수에 위협이 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img_6761 copy.

▲ 시민환경연구소 김정수 부소장은 “남극해양보호구역에서 나라마다

중요한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좀 더 넓은 보호구역 설정이 필요하다”

라고 말했다.

시민환경연구소 김정수 부소장은 남극해양보호구역 설정의 과학적 의미와 외교적 추진방향에 대한 주제발표에서 “남극은 남극조약에 따라 어느 나라도 영유권을 주장할 수 없고 과학연구활동과 생물자원 개발외에는 광물자원 개발조차 불가능한 곳”이라며 “2002년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세계정상회의’에서 남극을 보호하자는 긴급성명서를 발표했지만 남획과 불법어획이 계속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남극의 생태계를 유지하는 핵심종은 크릴”이라며 “물고기, 펭귄 등 남극의 많은 동물이 크릴을 먹고 생존한다”라고 말했다.

 

사람과 동물의 크릴경쟁

 

김 부소장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난 30년간 남극의 온도가 4.5도 증가함에 따라 크릴이 많이 감소했다”라며 “크릴 조업해역과 크릴 포식동물의 서식지가 일치하고 크릴 조업량이 늘어나 사람과 동물간의 크릴경쟁이 이뤄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남극해양보호구역에서 나라마다 중요한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좀 더 넓은 보호구역 설정이 필요하다”라며 “환경문제를 모두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없기 때문에 사후처리기술(End of Pipe)보다 사전예방을 하기 위해서 더 넓은 보호구역 설정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특히 “남극은 지구의 원시적인 환경을 보전하고 있으며 환경변화에 신호를 보내주는 ‘조기경보장치’ 기능을 지니고 있다”라며 “수십만년동안의 지구의 기후변화 기록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얼음은 지구온난화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먹이사슬로 인해 모든 종이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라며 “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단일종 관리만이 아니라 통합적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제2기지인 장보고 기지 앞바다인 로스해의 보전을 통한 과학연구 추진의 기회”라며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변화 연구 기회를 제공하고 사전예방 원칙을 통한 남극보전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다”라고 설명했다.

 

pjw@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