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환경일보】고현준 기자 = 장흔 주제주중국총영사가 제주도청 기자실을 찾아 기자간담회를 갖는 자리에서 제주해군기지 문제를 언급했다. 지난 18일 오전 장흔 제주총영사는 기자간담회 모두인사에서 “제주는 중국과의 우호내왕 역사가 오래전부터 있어왔다”며 “옛날에 진시황이 서복을 제주도에 보내 불로초를 찾게 했다는 전설이 있다”고 소개했다.

 

“근래에는 대장금,겨울연가를 비롯한 한국 드라마들이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경치와 독특한 인문환경을 중국인들에게 각인시켰다”고 말한 장 총영사는 “적지 않은 중국인들은 직접 그 현장에 와서 체험하고 싶어한다”며 “마침 제주도에서는 2008년부터 중국관광객들에게 무비자 정책을 실시해 이런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제주도를 찾는 중국인들이 급증했다”고 밝혔다.

 

24466_32610_5759
▲장흔 주제주중국총영사가 제주도청 기자실을 찾아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장 총영사는 “중국은 제주도의 최다 관광객 수출국이 됐고 제주는 단일 지역으로 중국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해외 관광 목적지로 됐다”고 소개하고 “2011년 제주를 방문한 104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 중, 57만 명이 중국인 관광객”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각 분야에서 관계가 깊어지고 인적교류가 급증하면 일련의 문제들이 발생하기 마련”이라고 말하고 “신분증 분실과 사건 사고,분쟁이나 불법행위 등은 정부기관에서 도와야 하는 것들”이라고 소개했다.

 

“중국과 제주도 간의 우호관계를 보다 더 촉진하고 관광객,그리고 다른 중국 국민과 연관된 문제들을 취급하기 위해 지난 2010년 5월 방한한 원자바오 중국국무원총리가 이명박 대통령과 함께 제주특별자치도에 중국 영사기구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한 장 총영사는 “지난 2011년 7월, 양제츠 중국외교부장은 김성환 한국외교통상부장관과의 면담에서 중국정부가 제주에 총영사관을 개설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국은 총영사관 설립에 필요한 외교적 절차를 밟았으며, 올해 4월 총영사관 개설팀이 입도, 총영사관 개설업무를 시작하고 지난 7월14일 총영사관 개관행사를 거행하기에 이르렀다는 소개도 잊지 않았다.

 

특히 “우근민 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비롯한 각 계 지역 인사들은 총영사관의 설립을 위해 적극적인 기여를 했고 개설팀의 업무에 대대적인 지지와 도움을 보내줬다”고 말한 장 총영사는 “그 동안 많은 도움을 주신 여러분께 깊은 감사 드리며 또한 저와 저희 총영사관 직원 일동을 따뜻하게 환영해 준 제주도민들에게 친절한 인사를 보낸다”고 인사했다.

 

장 총영사는 총영사관 개요 및 업무소개를 통해 “주제주 중국총영사관은 주한중국대사관, 주부산총영사관, 주광주총영사관에 이어 중국정부가 한국에 설립한 4번째 외교영사대표 기구이며 업무지역은 제주특별자치도”라고 밝혔다.

 

총영사관의 주요 업무는 제주도와 중국 각 지역간 여러 차원에서의 교류와 협력을 추진시키고, 양국 국민간 상호이해를 증진시키며, 제주에 온 중국관광객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영사서비스를 제공, 제주도민이 중국비자를 발급받는 데 편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 측과 의사소통을 강화해 상호 협력, 우호협상를 통해 각종 사건을 침착하고 원만하게 처리함으로써 사건의 확대 악화를 막고 양국 관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초대 주제주 중국총영사로서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 할 것이라는 각오를 밝혔다.

 

장 총영사는 제주헤군기지 문제에 대해서는 “제주도청과 업무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며 “해군기지 문제에 대해서는 검토하지 않았고, 더 이상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총영사관을 잘 이끌어 상기의 임무를 완수, 양국관계를 가일층 발전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현재, 총영사관은 5명의 영사관원이 근무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총영사관 임시사무소 주소는 제주시 도남동 568-1번지,대표번호: 064-900-8830/8840, 팩스번호: 064-749-8860이다.

 

한편 주제주총영사관은 개관 후 양국 각 분야 우호교류와 협력, 영사보호, 어선문제 및 각 종 사건사고 처리 업무를 이미 개시했다. 현재 임시사무실에 입주해 있어 비자발급 및 중국인 여권발급 업무를 시작하지 못하는 점에 대해 양해를 부탁한 총영사관은 아울러, 비자발급 등 업무를 시작할 여건이 되면 사전에 고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kohj007@hkbs.c.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