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

▲ 이번 세미나는 지난 8월 발족한 개발협력연대의 첫 번째 세미나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한국

의 민관협력을 통한 개발협력 모델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진=박종원 기자>


[환경일보] 박종원 기자 = 정부 무상원조 전담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이하 KOICA)과 미국 대외원조전담기관인 미국 국제개발처(이하 USAID)는 국제개발협력에서의 민간부문 참여 사례와 역할 공유,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KOICA-USAID 공동세미나’를 지난 18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 8월 발족한 개발협력연대(Development Alliance Korea)의 첫 번째 세미나로 기업

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한국 기업들이 해외 사회공헌활동을 점차 확대하고 있는 것을 반영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한국의 민관협력을 통한 개발협력 모델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존 민관사업협력 확대해야”

 

개발협력연대는 민간의 자금과 전문성이 공공 부문의 국제개발 노력과 접목될 때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며 국제개발협력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하는 국내 기간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상호 정보 공유 등이 필요하고 민간 파트너와의 제한적 협력을 통해 소규모로 추진돼 온 기존의 민관사업협력을 보다 큰 프레임워크에서 확대추진 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한충식.

▲ KOICA 한충식 이사는 “지난해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에서 공식 출범한 글로벌 파트너십은 기존

의 선진국과 개도국의 책임을 넘어 다양한 개발 주체들이 파트너로 받아들여졌다”라고 설명했다.


KOICA 한충식 이사는 환영사에서 “지난해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이 공식 출범했다”라며 “기존의 선진국과 개도국의 책임을 넘어 기업, 시민사회 등 다양한 개발 주체들이 파트너로 받아들여졌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이 주도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라며 “KOICA는 학계와 기업, 시민사회단체 등 다양한 주체들이 국제개발협력에 활발히 참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민간부문은 경제성장 엔진”

 

이어진 첫 번째 세션에서는 USAID의 민관협력프로그램인 ‘Global Development Alliance’의 소개와 아시아 지역에서의 민관협력 활동에 대한 소개가 진행됐다. USAID 켄(Ken lee) 박사는 “가장 중요한 경제성장 엔진인 민간부문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라며 “효과적인 공적개발원조(이하 ODA)를 위해 어떻게 자금이 흘러들어가는지 이해하고 서로 협의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특히 “많은 기업들이 개도국에서 보다 광범위한 ODA를 원하고 있다”라며 “공공-민간 파트너십(Public Private Partnerships, 이하 PPP)을 통해 원하는 솔루션을 함께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PPP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켄.

▲ USAID 켄(Ken lee) 박사는 "가장 중요한 경제성장 엔진인 민간부문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다.


켄 박사는 “PPP는 자원과 리스크, 의무 등을 공동으로 소유하고 공동의 솔루션을 통해 혁신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 목표”라며 “사회와 경제, 국가나 공동체에만 도움이 될 것이 아니라 기업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대부분의 파트너십이 경제성장 부분에 집중돼 있지만 농업과 환경에도 상당히 많은 파트너십이 있다”라며 “파트너십은 함께 협력하고 얻은 경험을 통해 서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마이클.

▲ 또한 USAID의 마이클 (Michael Silberman) 박사는 "경제 위기로 재정적으로 어려운 기업들에게

CSR 분야의 투자가 어떤 도움이 될 수 있을지 보여줘야만 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USAID의 마이클 (Michael Silberman) 박사는 “경제위기로 인해 기업들은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하 CSR) 투자가 기업에게 어떤 장점을 가져올 것인지를 생각하지만 시민단체들은 그런 점을 만족시켜줄 수 없다”라며 “CSR 분야의 투자가 기업에게 어떤 도움이 될 수 있을지를 보여줘야만 한다”라고 말했다.

 

곽재성.

▲ 경희대학교 곽재성 교수는 "한국은 사회공헌과 기업 전략간의 일치가 어렵고 CSR의 인식이 부

족하다"라고 설명했다.

 

한국, CSR의 인식 부족

 

경희대학교 곽재성 교수는 우리나라의 PPP 방향과 모델 제언에 대한 발표에서 “개도국은 개념 및 인적자원, 인프라 등이 부족하고 비즈니스 환경이 열악하다”라며 “특히 한국은 사회공헌과 기업 전략간의 일치가 어렵고 CSR의 인식이 부족하다”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그는 “민관협력 참여자에 대한 인지강화 및 네트워킹, 매치메이킹이 필요하다”라며 “보건, 환경 등 분야별 민간개발연대의 맞춤형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국제기구, 국제NGO, 기업, 정부 등과 다양한 연대를 통해 선진적 국제개발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박은하.

▲ 외교통상부 박은하 개발협력국장은 "ODA 선진화방안에도 불구하고 우리 ODA는 여전히 개선할

것이 많다"라고 지적했다.


외교통상부 박은하 개발협력국장은 “서울 G-20 정상회의와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에서 국제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정부뿐만 아니라 시민사회 및 민간부문의 국제개발협력 참여가 적극 논의됐다”라며 “부산에서 주요 원조효과성 및 개발효과성 공약의 이행점검을 위해 시민사회, 민간분야 이행 지표도 새롭게 추가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ODA 선진화방안에도 불구하고 우리 ODA는 여전히 개선할 것들이 많다”라고 덧붙였다.

 

박 국장은 향후 과제에 대해 “국별지원전략하에서 민관협력을 어떻게 포함시킬지에 대한 고민과 기업과 사회의 공유가치 창출이라는 CSR 3.0으로 발전해야 한다”라며 “이와 함께 국제기구, NGO, 학계 등과의 연계를 확대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남부원

▲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 남부원 이사는 "NGO나 CSO를 포괄하는 시민사회는 주체는 사적이지

만 목적은 공공성을 추구한다"라고 설명했다.

 

명확한 개념정의 필요

 

이어진 토론에서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 남부원 이사는 “NGO나 CSO를 포괄하는 시민사회는 주체는 사적이지만 목적은 공공성을 추구한다”라며 “민간부문 이해당사자(Private sector stakeholder)에 NGO와 시민사회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좀 더 명확한 개념정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KOICA 민관협력실 정윤길 실장은 “한국의 CSR-PPP는 목표 달성을 위해 좋은 사업을 발굴하고 개도국의 수요와 우리의 능력을 감안해 적절한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라며 “효율적인 방법 실행과 모니터링, 계획 수정을 통해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pjw@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