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박종원 기자 = 먹을 것이 넘쳐나는 시대라고 하지만 아직도 지구 한 편에서는 먹을 것이 없어 하루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다.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가 하루에 1만5000t.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 연 20조원.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니라 21세기 대한민국의 현실이 그렇다. 불과 40~50년 전만 해도 먹을 것이 없어 ‘보릿고개’로 불리는 가난이 일상이었던 우리나라의 발전에 대해 전세계는 놀라워한다.

 

하지만 더욱 놀라운 일은 음식과 쓰레기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두 단어가 합쳐진 ‘음식물쓰레기’라는 말을 아무렇지도 않게 쓰고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음식물쓰레기가 넘쳐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률은 고작 26% 수준으로 OECD 국가 중 최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즉 비싼 돈을 들여 외국에서 사온 음식들을 버리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필요할까. 많은 사람들이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그 방법이라고들 말하고 있다. 과거의 정액제와 달리 음식물쓰레기를 적게 버릴수록 수수료 부담이 줄어 음식물쓰레기 발생 자체를 억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는 미봉책일 뿐이다. 음식의 소중함을 느껴서가 아니라 단순히 돈이 무서워서이기 때문이다. 만약 종량제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음식물쓰레기가 늘어나는 순간이 오면 수수료를 올리거나 버리는 방법을 까다롭게 하는 대책 외엔 다른 대안이 없다. 따라서 음식물종량제는 진정한 해결방법이 아니다.

 

지겹게 들어온 얘기지만 이제 우리 인식부터 변해야 한다. 필요한 양만 적당히 조리해 먹는 일이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진정한 해결방법이다.

 

pjw@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