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택수 기자 = 한국 사회는 심각해져 가는 생태계 위기와 환경문제 해결의 길로 환경과 경제의 통합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화두를 겪어봤다. 그 화두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 환경비전을 선포했으나 외피를 화려하게 치장하는 수단 정도였다. 진정성을 의심케 한다.

곁눈질을 해보자. 현재 스웨덴은 복지국가를 넘어 ‘녹색 복지국가’를 목표로 삼았다. 1967년 세계 최초로 출범한 스웨덴 환경부는 2005년에 ‘지속가능발전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는 환경위기의 근본 원인이 자원과 에너지의 지속 불가능한 사용방식에 있다는 더 깊은 성찰의 결과라 하겠다. 2020년까지 화석연료 의존에서 벗어날 것을 목표로 스웨덴은 다양한 재생 에너지 개발에 적극적이다.

주목할 것은 지난 20년간 스웨덴이 일정 수준 경제성장을 했으나 에너지 소비가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기업의 자세도 믿을 수 없이 진지하다. 세계적인 자동차 회사 ‘볼보’의 부사장이 “자동차 때문에 우리의 도시들이 파괴되고 있다”라며 사실상 승용차 생산 감축을 제안하는 형편이다.

한국은 어떠한가.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가 펴낸 '202개 경제·무역·사회 지표로 본 대한민국'(2002년 10월) 지표를 보면 한국의 국토면적은 세계 109위 규모이나 경제규모는 13위로 이는 국토 단위면적당 자원 및 에너지 소비규모, 폐기물 배출 규모 등 환경에 미치는 부하가 세계적으로 대단히 높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한국은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와 에너지 다소비형 생활패턴을 가지고 있어 원유수입 세계 3위, 석유소비는 세계 7위와 기후온난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세계 10위권에 들어가는 실정이다.

‘녹색성장’이라는 막연한 구호가 아닌 생명과 자연을 무엇보다 소중히 해야 한다는 스웨덴의 ‘건강한 상식이 살아있는 인간적인 사회’를 만드는 노력 자체가 진정성 있는 녹색성장 구현이 아닐까 한다.

kt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