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택수 기자 = 존라이언과 앨런 테인 더닝의 ‘녹색시민 구보 씨의 하루’라는 책이 있다. 무심코 소비하는 물건들이 환경을 파괴한 뒤 우리에게 어떤 식으로 되돌아오는지를 흥미롭게 그리고 있다. 예를들어 종이 한 장이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지역의 150년 된 전나무를 벌목해 뽑아낸 펄프에서 왔다. 그 펄프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주변에는 목재공장이 필요할 것이다. 목재공장이 들어서면서 종이 생산량을 늘었지만 반대로 세계 최고의 연어 생산지였던 프레이저 강은 연어 생산량이 급감하게 된 것이다. 또한 전 지구적으로 이산화탄소량은 증가했을 것이다.

이처럼 다소 진부하지만 강조해도 부족지 않은 것이 21세기는 전 지구적 단위로 돌아가는 ‘환경 세계화 시대’라는 점이다.
정부 차원에서 WEEE(EU의 폐전기전자제품 관련 제도)등과 같은 선진국의 모범적인 사례들을 벤치마킹해 정책의 방향으로 삼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불어 중요한 것은 교육이다. 교육을 통한 국민의식계몽 필요성은 EU의 사례에서도 강조되는 부분이다. 결국 의식 있는 소비자 개인의 바탕이 전제해야 생산자책임제도가 빛을 볼 수 있다는 얘기다.

작은 실천을 해보자. 요즘은 전국 초중학교와 이동통신 대리점 이마트에 가져가면 기념품과 경품을 준다. KTX역사에서는 운임 할인권(20%)가 교환이 가능하다. 신제품이 쏟아지는 전자제품 시장에서 휴대폰은 점차 소형화돼 소장의 개념으로 의식이 변화돼 가고 있다. 개인의 중요한 자료는 지우고 자원 활용에 적극 참여해보자.

kt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