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택수 = 환경부 주최로 ‘자연플러스 생태관광 심포지엄’ 20일 서울 63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자연플러스 포럼은 ‘자연이 미래다! 풍요로운 자연, 행복한 국민’이라는 정책비전으로 자연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대안 모색의 자리로 마련됐으며 자연플러스 포럼 위원, 자연분야 오피니언 리더 등 약 100여명이 참여했다.

 

흑두루미5

▲최근 순천만은 흑두루미의 낙원이 되고있다. 순천시는 새들을 위해 전봇대와 전선 제거 등의

활동으로 생태관광의 성공모델로 나아가고 있다 <사진제공 = 순천시청>


정연만 환경부 기획조정실장은 개회사를 통해 “보존과 개발의 충돌 사이에서 국민과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다”라며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이 변화하듯 국민 의식변화에 맞춰 환경 정책을 이끌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정 실장은 “자연보전 정책이 생명력을 갖기 위해 지역과 중앙, 인간과 환경이 공존하는 태도로 가야 한다”라며 “이번 심포지엄에서 논의된 결과를 토대로 우수한 생태관광지에 대한 관광수요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키워 나가겠다”고 밝혔다.

 

 

2
▲자연플러스 생태관광 정책 심포지엄이 20일 63컨벤션에서 개최됐다 <사진= 김택수 기자>

생태관광은 1965년 Link라는 매거진에 Ecological Tourism의 첫 언급으로 시작됐다. 환경보호와 지역주민의 복지향상을 염두에 두고 자연지역으로 떠나는 책임 있는 관광이란 정의를 가진다. 또한 생태관광은 ▷비교적 훼손되지 않은 자연지역 ▷환경교육 기회제공을 통한 환경의식 고양 ▷지역사회에 대한 경제적 편익 고려 등으로 구성되는 개념이다.

 

예비인증 대상사업 모호해 

 

4

▲김남조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장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 김택수 기자>

김남조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장은 “국내의 초기 생태관광은 환경 관련 단체들을 중심으로 생태기행, 테마여행, 답사여행의 용어가 혼용되며 환경교육을 목적으로 이뤄졌다”라며 “아직도 법, 정책에서 생태관광에 대한 용어가 개념적 모호성을 띈 채 명확한 정의 없이 사용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생태관광의 범위설정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수익성 위주의 생태관광은 자칫 대중 자연관광으로 변해 갈 수 있다”라며 “생태계 우선으로 보전교육, 최소한의 체험활동으로 지역사회의 경제적 편익까지 고려되는 개념적 범위 설정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도입된 생태관광 예비 인증사업제의 경우 그 대상이 모호하다”라며 “여행업체 인증인지 여행상품인증인지의 범위 규정과 자연관광 숙박시설과 생태관광 숙박시설의 차이점이 명확히 해야 한다”라고 우려했다.

 

세계적으로 연간 5% 성장

 

전 세계적으로 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wise use)과 현명한 보전(smart conservation)적 측면에서의 자연자원 관리가 주목받고 있다. 2010년 세계관광기구(UNWTO)는 생태관광이 세계적으로 연간 5%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세계관광시장의 약 7%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혔다.

 

이에 최희선 연구위원(한국환경정책·평가원구원)은 “2010년 국내 문광부 보고서에서 생태관광 수요자는 약 380만 명, 연간 실제 참여자는 186만 명으로 추산했다”라며 “향후 생태 관광에 대한 수요가 70~80%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 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최 연구위원은 “생태관광 자원의 관리와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컨텐츠 향상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라며 “국가차원의 생태관광 발전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생태관광 관련 법률의 제, 개정 추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성공적인 사례로 일본의 생태관광 추진법인 에코투어리즘 추진법(2008년 제정)이 있다.”라며 “생태관광지별 수용력 산정을 통해 생태관광지정제를 위한 법률안이 마련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생태관광 해설사’ 제도 필요

 

심포지엄의 주제발표 후에는 패널들의 토의도 진행됐다. 제주생태관광 고재량 대표이사는 “생태관광은 하나의 도구이다”라며 “친환경적인 삶을 살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은 우선적으로 그 지역 주민이 사는 공동체의 현 주거상태의 면밀한 파악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고 대표이사는 “가이드 즉 생태관광 해설사 양성의 정책에서 그들의 법적 지위나 생활의 보장이 제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라며 “신설되는 생태 해설사와 기존 관광가이드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대안도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그는 “현장에 일하는 사람에게 일관된 정책 마련이 중요하다”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환경부가 양분돼 시행 중인 생태관광인증, 지정제도정책 등이 지역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가야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정책과 주체가 명확해야

 

5

▲김현 단국대 녹지학과 교수가 패널토의를 하고 있다

<사진= 김택수 기자>

학계에서는 김현 단국대 녹지학과 교수의 발언이 이어졌다.

 

김현 교수는 “정책과 주체에 있어 명확성을 가져야 한다”라며 “정책 부분에서 지속적인 생태관광이 자원보존과 이용의 측면 중 어느 것에 비중을 둘 것인지가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주체 역시도 지자체가 생태관광의 중심인지 산업체 또는 주민이 주체가 되는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라며 목표에 따라 실효성을 판단하기 위해 정책의 정량화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아울러 그는 “실효적인 측면에서 하드웨어인지 소프트웨어인지 정책의 대상과 목표가 정해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kt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