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영애 기자 = 기존에 무신호로 운영됐던 한강 교량 램프구간 횡단보도에 신호등이 설치돼 보행자가 한강 교량을 보다 안전하게 건널 수 있게 된다. 서울시(도시교통본부)는 압구정에서 성수대교를 건너 서울숲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해 이동하는 시민의 안전을 위해 지난달 성수대교 북단 램프구간 횡단보도에 ‘보행자 작동 신호등’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램프구간은 평소 차량 통행이 많고 보행자가 적어 대부분 무신호 횡단보도로 운영돼 왔다. 그러나 최근 성수대교를 건너 서울숲까지 걸어서 찾는 시민이 늘어나고 있어 서울시는 이 구간에서 보행자 사고가 날 위험이 있다고 판단,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횡단보도에 ‘보행자 신호등’을 설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기존에는 하늘공원, 월드컵공원 등을 찾는 시민들을 위해 서울 시내에서는 유일하게 가양대교 남·북단 램프구간(2009.11월 설치)에만 보행자 신호등 횡단보도가 설치돼 있었고, 그 밖의 교량에서는 무신호 횡단보도가 운영돼 왔다.

 

서울시는 먼저 기존에 차량 이동에 최적화 돼 있는 교량 램프구간 횡단보도에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한 보행자 신호등을 설치하기 위해 다면적으로 검토한 결과 ‘보행자 작동 신호등’을 설치하기로 했다. ‘보행자 작동 신호등’은 평소에는 차량이 원활하게 이동하다가 길을 건너려는 보행자가 신호등 지주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면 7초 후 녹색 신호로 바뀌어 안전하게 건널 수 있다.

 

 서울시는 교량 위에 신호등을 설치해야 하는 까다로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기술적인 방법을 검토, 적용해 안전하게 설치를 완료했다. 교량 진동이나 강풍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초속 50m/s에도 넘어지지 않는 신공법을 이용해 신호등 지주를 고정했으며, 무선 원격 복구시스템을 적용했다.

 

 무선 원격 복구시스템은 신호등 제어기 무선 운영이 가능해 신호등이 고장나거나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 복구반이 현장에 나가지 않고도 원격으로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번에 성수대교 램프구간 횡단보도에 보행자 작동 신호등을 설치하고 시민 반응과 운영효과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앞으로 보행자 이동이 많은 주요 한강 교량에 확대 설치해 나갈 방침이다.

 

 시내 24개 한강 교량은 강남·북 주요 생활시설이나 자전거도로, 한강공원 등을 끼고 있어 최근 들어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해 교량을 건너는 시민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특히 하절기에는 각 교량마다 걸어서 이동하는 시민이 하루 평균 2백 명 이상에 이르고 있어 서울시는 앞으로 보행자 신호등 횡단보도를 적극적으로 설치해 나갈 계획이다.

 

가양대교-월드컵공원, 양화대교-선유도공원, 마포대교-여의도한강공원, 성수대교-서울숲, 잠실대교-잠실종합운동장, 천호대교-광진구민체육센터 등 실제로 한강 교량은 시민이 많이 모여드는 공원 또는 주요 생활시설과 인접해 있다.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마국준 교통운영과장은 “시민들이 강남·북을 걸어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강 교량 램프구간 횡단보도에 보행자 작동 신호등을 확대 설치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신호등과 횡단보도를 더 많이 설치하여 시내 어디든 안전하고 자유롭게 걸어 다닐 수 있는 보행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