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케이웨더] 최유리 기자 =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오염된 공기로 인해 사망하는 사람이 약 300만 명(전체 5%)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인이 하루 80~90%의 시간을 보내는 실내의 공기가 외부에 비해 100배 이상 오염돼있고, 오염물질의 폐 전달률이 1000배가량 높다는 미국 환경보호청(EPA)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체계적으로 실내공기를 관리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실내환경학회는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정책 방향 및 방안을 모색하고자 고려대학교 하나스퀘어에서 ‘생활환경에서의 초미세먼지와 곰팡이,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학회는 실내 공기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건물의 밀폐성 증가로 인한 환기의 부족, 영화관 등 새로운 실내공간의 등장으로 인한 거주시간 증가 등을 꼽았다.

실내공기질관리법의 주요 내용 및 향후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해 발표한 환경부 생활환경과 이가희 과장은 “국민들의 생활 반경이 달라짐에 따라 국내 실내공기질 관리정책은 1996년 제정된 ‘지하생활공간 공기질 관리법’에서 ‘실내공기질 관리법’으로 개정된 이래로 꾸준히 관리 대상군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1996년 법 제정당시 지하생활공간에 한정돼 있었으나 2003년 공동주택 등 다중이용시설군 관리가 포함됐다. 이후 개정을 거듭하면서 어린이집부터 영화관, 대중교통, 학원, 노인요양시설 등도 관리 대상에 추가됐다.

그러나 매년 관리대상 시설은 증가하는데 반해 지자체 등 관리 역량은 한계가 있다고 이 과장은 설명했다. 실제 초미세먼지 지도·점검율은 관리대상 시설이 1만3113개였던 2011년도 20.5%에 반해 1만6592개로 늘어난 2013년에는 10.8%까지 떨어졌다.

이 과장은 “향후 정책은 관리대상 확대보다는 시설 소유자의 자율관리를 지원하고, 실내공기질 오염도 및 외국 사례를 토대로 관리대상 오염물질을 조정하는 등 합리적인 방향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대기오염물질 중 호흡기질환에 가장 악영향을 미친다는 초미세먼지(PM2.5)가 올해부터 대기환경기준에 포함됐다. 그러나 미세먼지와 달리 다중이용시설에 관한 실내 관리 기준이 아직 마련돼 있지 않아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실내 환경에서의 초미세먼지 관리 및 기준 설정 방향’에 대해 발표한 한국실내환경학회장 고려대 손종렬 교수는 “실내에서 초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면 그것을 어떻게 관리를 할 것인가, 어떤 방법으로 측정하고 기준설정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손 교수는 “어떤 발생원이나 기준시설 등에 따라 차별화된 관리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량법, 베타선흡수법 등 측정방법을 선택하는 것부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며 “대기환경 기준과 실내환경 기준을 동일하게 설정해놓고 이후 국내 논문과 보고서를 참고, 국외 초미세먼지 다중이용시설 기준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을 분석해 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가 지난 2013년 12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서울 시내 주요 지하철 역 6곳을 대상으로 초미세먼지 농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50㎍/㎥가 넘는 ‘나쁨’ 수준으로 나타났다.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7호선 어린이대공원역이 117㎍/㎥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1호선 동대문역도 92㎍/㎥을 기록했다.

YRmeteo@onkweather.com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