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는 엄마 빼고는 뭐든 ‘짝퉁(가짜)’을 만들 수 있다는 농담이 있다. 베이징에는 아예 짝퉁시장이 내놓고 장사를 하고 세계에서 모여든 관광객들이 가짜인지 알면서도 싼 맛에 즐거이 물건을 사가곤 한다.

가짜의 문제는 정작 필요할 때 필요한 기능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친환경상품에도 짝퉁이 있다. ‘친환경위장’(Green Washing) 제품' 역시 이윤을 목적으로 친환경적 특성을 허위·과장해 상품을 광고 또는 홍보하거나 포장하는 등의 행위들이 있다. 정부의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친환경제품 구매가 증가할수록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구심과 불신도 함께 증가해왔다.

2010년, 2012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조사에 따르면 친환경제품의 구매경험이 39.6%에서 56%로 증가했다. 친환경 제품 시장규모는 2012년 864개 공공기관에서만 1조7,270억원 구매로 성장했다. 그러나 ‘믿을 수 없다’는 응답도 적지 않다. 한국소비자원 조사에서도 녹색관련 표시 제품 중 46%가 허위·과장 표현을 하거나 중요정보를 누락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친환경 위장제품은 주로 세제류, 목욕용품, 화장지류, 가공식품, 유제품류 등 생활용품 들로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환경산업기술원은 녹색시장 활성화를 방해하는 ‘짝퉁’ 친환경제품에 대한 교통정리를 진행해오고 있다. 올해 500건을 모니터링하고 잘못된 사례를 찾아 자발적 시정을 유도할 계획이다. 생산자 대부분이 중소기업이고 규정을 몰라 위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보를 주면 대부분 자발적으로 시정한다고 하니 바른 정보제공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고, 환경 관련 공인인증을 받는 것도 선택사항이어서 기업들이 별다른 죄의식을 느끼지 않는다는 심각성이 있다. 최근 ‘짝퉁’ 친환경제품에 대한 감시․관리를 본격화하기 위한 ‘친환경위장제품 관리 협의체’가 발족됐다. 환경부, 공정거래위원회를 비롯해 국가기술표준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소비자원 등 정부, 공공기관과 학계, 시민단체, 기업협회, 법조계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기관 간 유기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기업과 소비자 의견도 다양하게 수렴해 정책 운영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기업들이 제품의 환경성 표시․광고를 올바르게 시행토록 구체적 지침을 제공해 자발적 개선을 이끌고 소비자들에게도 친환경위장제품에 대한 경각심을 갖도록 다양한 홍보 및 교육의 장을 마련한다니 기대해봄직하다.

정부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준비하고, 사업자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친환경 상품을 공급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의 현명한 대처도 대단히 중요하지만 잘 보고 사라고 떠넘길 것이 아니라 공인된 친환경 인증마크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정부와 관계기관은 편리한 방법들을 제시해야 한다.
결국엔 제품가격이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배경에서 환경을 내세워 시장에서 경쟁하려면 고유기능과 친환경성을 유지하면서 가격 경쟁력도 갖춘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 이런 제품들 많이 만들고 판매할 수 있도록 진지한 고민들 해주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