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하나, 지구촌 한 가족, 지구호 운명공동체’ 같은 표현들이 있다. 어느 한 나라의 노력만으로 안전하고 평화롭고 살기 좋은 세상을 유지할 수 없다는 전제가 깔려있다. 반면 어느 한 나라가 처한 위험이 세계를 위협할 수 있다.

UN은 2016년부터 2030년을 기한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수립을 추진해 세계가 합의했고, 9월 총회만 남았다. 사람과 지구, 번영과 평화, 파트너십을 강조하는 SDGs의 도전은 미래세대의 출발점을 공평하게 바로 세워보자는 것이다.

철저히 미래 중심적이다. 빈곤퇴치, 성평등,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양식 등 17개 목표들은 인류의 고민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특히, 개발재원과 기술, 역량배양을 강조한 17번째 목표 ‘이행수단과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는 성과를 이루기 위한 중요한 대목이다.

대한민국의 국격(國格)은 상당한 수준에 달해있다. 세계가 감탄하고 동참의지를 밝혔던 ‘녹색성장(Green Growth)’을 주창한 나라, 원조 받던 나라에서 원조하는 세계 유일의 나라, 한류열풍을 일으키며 각국 젊은이들이 앞다퉈 언어를 배우려는 나라다. 세계의 마음이 열려있고, 특히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남미 등 개발도상국들로부터 강한 러브콜을 받고 있다.

선진국과 개도국간 교량 역할을 할 유일한 나라라는 신뢰까지 얻고 있는 이 나라가 과연 미래세대를 위해 무엇에 투자하고 있는지 돌아봐야 한다. IT를 비롯한 첨단기술과 과학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세상이 어떻게 변화할지 알 수 없다. 그래서 더더욱 세계 곳곳에서 ‘코리아’에 마음을 열고 손잡고 함께 하고 싶도록 터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세계가 한 마음으로 만들어 요청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들을 실천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다. 아니 적극적으로 나서 한국이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겠다며 기회를 잡아야 한다. 중앙정부 부처나 국회, 관계 기관들이 여전히 압축성장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채 눈치 보면서 이런 저런 핑계를 대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다.

미래세대 배려나 인류공영에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독일은 스스로를 ‘발전중인 나라(developing country)’로 칭하며 SDGs를 위기탈출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국민들을 설득하고 있다. 우리도 UN2030 지속가능발전목표들을 추진하면서 새로운 미래 도전기회로 삼아야 한다. 실천하려면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문제를 들춰내 내부 상처들을 치유하고 세계 속 존경받는 대한민국으로 도약할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를 지속가능한 구조로 전환하기 위해 모두 힘써 뛰어야 하며, 대국민 홍보와 교육 역시 계속돼야 한다. 우리만 잘살면 된다는 사고를 넘어 세계와 함께 하는 ‘지구민 사고(global citizenship)’를 가져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9월 유엔총회에 반드시 참석해 우리나라의 위상에 걸 맞는 메시지를 강하게 전해야 한다. ‘대한민국은 세계가 합의한 지속가능발전목표들(SDGs)을 실천하는데 앞장 서겠다’라고 말이다. 이렇게 해야 ‘창조경제’가 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