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온 상승으로 인한 조장 피해 현장(좌)과 조장 쇠퇴 문제의 전국적 확산 추이(우)



[환경일보] 공새미 기자 = 일본 농림수산성 수산청은 지난 9월15일, ‘조장·갯벌 비전 검토회’의 중간보고서를 공표했다.

조장(藻場)·갯벌은 수산생물의 산란, 치어 육성, 먹이 확보의 장으로서 수산자원의 유지·증대에 크게 기여하는 한편 해수의 수질정화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지리적 자원이다.

그러나 최근 해수온 상승과 유해생물 등으로 인해 조장·갯벌의 감소 및 기능 저하가 전국적으로 관찰되고 있다.

‘조장·갯벌 비전 검토회’는 금년 안에 실효성 있는 조장·갯벌의 보존·창조방책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전문가와 행정담당자 등으로 구성한 조직이다.

이번의 중간보고서는 현황과 과제, 보존·창조방책의 골자를 담고 있다.

이제까지 일본에서는 수산 기반 정비사업 등으로 2만5000ha에 달하는 조장·갯벌을 정비한 바 있으며, 수산 다면적 기능 발휘대책을 통해 500개를 넘는 활동조직이 조장·갯벌 보전활동을 실시 중이다.

한편 최근 해수온 상승 등으로 인해 초식성 어류 분포 확대로 조장 면적이 감소하고 매가오리 등 식해생물의 영향으로 갯벌의 기능 저하 경향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바다환경의 변화는 광역적으로 파악하고 대책에 임할 필요가 있으며, 보전 대책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책정됐다.

먼저 광역적인 해역환경 조사를 정확한 조장·갯벌 쇠퇴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첫 번째 목표이다.

나아가 국소적 관점의 대책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하드와 소프트 측면을 통합한 광역적 계획을 책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책을 실시할 예정이다.

단 산란 모어와 치어가 다량 서식하는 장소가 판명된 경우에는 해당 장소에 대한 대책을 우선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대책 실시 후에는 일정기간 동안 조장 밀도와 이매패류 서식밀도 측정 등 모니터링을 실시해 PDCA 사이클 안에서 효과적 대책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민간과 연구기관 등에서 개발된 기술, 새로운 지식과 의견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대책 실시에 있어서는 지자체가 중심이 돼 계획 책정 및 실시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어업인과 지역주민은 물론 기업 등의 참가를 독려하고, 관련 지자체가 복수에 이를 경우에는 정부 차원에서 관여한다.

갯벌 조성림에 하천 내 퇴적토사를 활용하는 방안 및 빈산소수괴 발생억제대책에 대한 검토 필요성도 제기됐다.

 

<자료=일본 농림수산성 / 번역=공새미 객원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