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환경문제들은 지난 수십년 간 정치적 목적으로 부각되기도 했지만, 대부분 축소 은폐돼왔다. 개발과 보전의 조화나 지속가능한발전을 이루기 위해 끊임없는 투자가 절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선에서 타협하곤 했다. 그러다 보니 많은 국민들이 환경문제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입술과 행동이 다른 왜곡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나는 잘하지만 남들이 문제라 지적하고, 내 불편에만 급급하고 내가 실천할 일엔 눈을 감았다. 환경이슈들은 산업활동과 생활에서 파생됨에도 불구하고 과정은 무시한 채 최종 발생물만 두고 처리하려는 사고도 개선되지 못했다.

환경가치를 무시한 채 친환경으로 위장된 제품과 활동이 사회 전체에 퍼져 있다. 바른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일방적인 당위성을 내세운 원자력발전소, 케이블카, 골프장 등이 추진되고 있다.

이런 일들이 반복되는 가장 큰 이유는 ‘환경교육의 빈곤’에서 부터라 할 수 있다. 교육이 백년대계(百年之大計)라면, 환경교육은 천년대계(千年之大計)다. 전국의 중고교 교사는 25만여 명이다. 그중 환경교사는 2008년 2900여명에서 2014년엔 1100여명으로 축소됐고, 그나마 환경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는 300명도 안된다.

교육부가 추진하는 ‘2015개정교육과정’은 총론 범교과의 영역에서 ‘환경교육’을 삭제했고, 학습 부담 감축을 이유로 윤리, 사회, 과학 등 과목에서 환경교육 내용을 도려냈다. 학습자가 미래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갖춰야 할 핵심역량으로 ‘자기관리, 지식정보처리, 창의융합사고, 심미적 감성’등은 제시했지만, 인간 이외 생명·생태에 대한 존중이나 배려는 찾아볼 수 없다.

IT 강국, 한류열풍을 일으키며 세계 속에 명성을 높인 대한민국이 나만 잘 먹고 잘 살면 된다고 가르치겠노라 작정한 것이다. 교육부는 반발이 심해지자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변경했지만, 교육과정 전반에서 환경교육은 설자리를 잃었다.

날로 심각해지는 기후변화와 각종 환경문제들에 대비해 선진국들은 환경교육과 지속가능성 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역주행을 하고 있는 것이다. 지구의 미래를 함께 걱정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할 아이들을 제대로 교육시키지 않는다면 한국의 미래도 없다.

환경부는 교육부 소관이라 어쩔 수 없다는 변명으로 일관해왔는데 과연 그런지 되짚어볼 일이다. 초중고 교과서 여러 곳에서 환경에 대한 왜곡되고 틀린 정보가 발견돼도 환경부 차원의 책임있는 검토나 검수 활동은 없었다. 장관상을 주는 이벤트에는 예산을 들이지만, 환경교육 전문가를 양성하고 바른 지식을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노력에는 인색했다.

학생과 교사들을 격려하고 아이디어를 발굴해 시상하는 행사도 필요하겠지만, 학교 환경교육은 양적, 질적으로 축소되면 안 된다. 환경부가 생명존중 윤리의식 및 환경의식을 함양한 대한민국의 미래 글로벌인재육성을 목표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환경교사 충분히 늘리고, 환경교육 제대로 시켜야 한다. 30년 전부터 했어야 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