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1950년대와 60년대 압축성장을 통해 빠른 속도로 산업화를 이뤘고 세계가 놀라는 경제발전을 이뤄냈다.

반면 자연의 자정능력을 초과하는 개발로 인한 각종 환경문제들이 발생했고, 상당부분 개선을 이뤘다지만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그 상처들이 곳곳에 남아있다.

안타깝게도 아시아와 중남미, 아프리카 등지의 개발도상국들 또한, 우리와 같은 전철을 밟고 있고 국제적 공조와 지원이 절실한 심각한 상황이다.

환경문제가 한 나라의 국경선 안에만 머무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고, ‘지구호’에 동승한 이웃을 돌볼 책무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은 심각한 환경보건 문제를 체감하고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뛰고 있지만 열악한 재정과 의지부족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

환경보다 성장을 우선할 수밖에 없는 어려운 경제여건을 이유로 대규모 인명사고가 발생해도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상당수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위생시설이 부족해 지표수가 오염되고 지하수마저 비소에 오염돼 건강상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맹독성 물질이며 발암물질인 비소는 음료수의 경우 허용한도를 0.05ppm 이하로 정하고 있는데 계속 섭취하면 몸속에 축적돼 수족 발진이 일어나고 비소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

캄보디아의 경우 먹는 물에서 기준치의 100배가 넘는 비소가 발견되는 등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캄보디아 전역에서 지하수 27%가 오염됐고, 칸달 지역은 모든 지하수가 오염되는 등 250여만 명이 비소 중독현상을 보이고 있다.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개발 과정에서가 아니라 천연상태에서 존재하지만 재정이 부실한 캄보디아 정부는 해결 방법이 없다.

방글라데시에서는 5000만명이 비소에 노출됐고, 베트남 역시 수도 호찌민시를 포함한 다수 지역의 지하수가 오염돼 한국국제협력단 등이 간이정수시스템을 지원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몽골과 중국에서는 대기오염이 심각하다.

난방용 석탄 사용으로 인해 각종 오염물질들이 인체에 축적돼 PM2.5 미세먼지 농도가 세계 평균보다 10배나 높으며, 특히 취약계층에 위협적이다. 호흡기 및 심혈관 질환, 수도권지역 조기사망률, 폐질환, 폐암 발병율이 최대 40% 넘게 증가했다.

몽골 인구의 40~50%가 광업으로 인한 영향을 받고 있지만, 정치권의 환경인식이 낮아 눈에 보이는 증거조차 외면하고 있다.

한국이 다른 개도국에 비해 상황이 낫다고 하지만, 산업계와 개발부처의 압력으로 환경오염피해를 예방하거나 저감하기 위한 규제들이 계속 후퇴하고 있어 매우 염려스런 상황이다.

과거 오염된 토양의 적정처리를 위해 합당한 비용을 들여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기 보다는 지자체 현장단속 부실의 허점을 틈탄 편법 불법 배출 등은 결국 불특정 다수에게 피해로 돌아간다.

전기요금을 현실화하지 않고 마음껏 쓰라 부추기면서 국민 건강을 담보로 석탄화력발전소를 대폭 늘리겠다는 정책을 내놓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나를 밟고 지나가라’던 환경운동가들은 다 어디로 갔는지 궁금하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