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2015년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14%를 넘기면서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2040년경엔 20.8%를 넘어 초고령사회를 맞게 될 전망이다.

경제학자들은 경제지표에서 인구통계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는다. 인구문제가 국가 재정 부담뿐만 아니라 교육, 안보, 청년일자리 등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기 때문이다.

고령화사회를 방치하면 성장률 잠식, 세대 간 갈등을 비롯해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경험과 활동능력을 갖춘 고령자들이 장점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필요한 것들을 갖춰야 할 때다.

문제는 이런 흐름에 대비할 시스템이 없다는 사실이다. 선진국에 비해 고령자 안전을 위한 기술개발 투자도 부족하다. 전문가들은 고령화에 따른 사회비용 증가, 수발환경, 안전망 구축 등을 해결하기 위해 과학기술의 역할을 강조한다.

우리나라는 고령자 안전기술 개발을 위해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예방안전, 생활안전, 수발안전, 이동안전, 작업장안전 등 5개 분야로 나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고령화시대를 맞아 과학기술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주장에 전반적으로 동조하는 분위기지만, 국가적 과제로 부상한 고령자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책적 노력도 동반돼야 한다.

또한, 관련 기관들은 좀 더 목적 중심적 활동을 펼치길 기대한다. 연구 결과물을 내는 것을 넘어 그 결과들이 실제 사회에서 쓰이기 위해 어떤 일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지도 더불어 고민해야 한다.

기술개발과 더불어 필요한 것은 기술이 제대로 쓰일 수 있도록 만드는 제도다. 고령화가 국가적 이슈라고 해서 정부 혼자 해결할 일은 절대 아니다. 각 주체별로 할 일이 나눠져야 한다.

정부는 큰 그림을 그려야 하는데 특히 고령화를 급박한 현실로 받아들이고 젊은 세대와 고령세대들이 어울릴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노력해야 한다.

고령화시대 분야별 기술을 근거로 전체적인 밑그림이 필요하고, 정책, 제도, 기술, 사회분위기 같은 것들을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신’이다. 고령화시대를 맞는 시민정신이 먼저 갖춰져야 한다. 누구나 결국 세월이 흐르면 늙게 되는데, 이 사실을 받아들이고 지금 고령화를 맞은 대상들이 직업을 갖고, 사회구성원으로서 건전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협력하겠다는 합의가 있어야 한다.

고령자들에게 사회구성원으로서 건전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직업이 필요하고, 고령자의 직업 활동에 필요한 과학기술, 디자인 등 각종 배려가 필요하다. 생각의 획기적인 전환과 더불어 인허가 부분에도 파격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원천특허를 보유한 기관들이 문호를 적극 개방하면 고령화시대를 겨냥한 청년창업도 활발해질 수 있다. 2017년부터 3차 5개년 계획이 시작되는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에 고령자의 안전성과 이동편의를 고려하는 것도 시의적절하겠다.

또한, 고령화사회에 대한 사회교육, 공교육도 반드시 필요하다. 고령화사회를 반영하지 않고 지속가능한발전을 논하는 것은 심각한 오류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