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는 온실가스에 민감해 기온이 2℃만 올라도 북극 얼음이 사라지고, 해수면이 수십 미터 상승해 재난이 불가피하다고 NASA는 경고했다. 그런데 지금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재앙이 지구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예상치 못한 호우 등으로 런던과 파리가 물바다가 됐다. 5월에 폭설이 내리고, 미국 일대에서는 수년째 이어지는 가뭄으로 제한급수까지 이어지고 있다. 태평양의 섬나라들은 나라가 가라앉는다며 온실가스저감과 구호를 요청하고 있다.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목포, 강릉, 전주 7개 지점을 이용해 산출된 지난 90년간(1921~2010년) 한반도 기온상승은 1.85℃, 20개 지점을 산술 평균해 추정한 지난 32년간(1969~2000년) 기온상승은 1.25℃였다.

국립기상연구소는 한반도가 100년간 기온이 1.7도 상승했고, 서울은 최근 10년간 0.3도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문기관은 이대로 기후변화를 방치할 경우 21세기말엔 3000조원의 금전적 손실을 예상했다.

실제로 지난 2011년과 2012년 집중 폭우로 서울 우면산 산사태, 강남역 물난리 같은 사고를 겪은 바 있다. 2014년 8월에는 부산에 242mm의 물 폭탄이 쏟아져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기상청은 2012년 인명피해가 가장 많은 기상재해는 ‘폭염’이라고 발표했다. 1994년엔 폭염으로 전국에서 3,38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2014년 국립기상과학원이 실시한 한미공동연구 결과 온실가스감축에 실패할 경우 온열진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2100년까지 급격히 상승해 현재의 5배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온열질환 사망자 중 75세 이상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현재는 27%이지만 2030년엔 66% 이상으로 증가하게 된다. 기후변화는 먼 미래에 발생 가능한 재난이 아니라 지금 당장 우리 국민들 생존의 문제라는 뜻이다.

그런데도 한국인들은 태연하다. 개구리가 냄비에서 서서히 익어가는 줄 모르듯 한국인들은 한반도라는 냄비의 온도가 올라가고 있음을 애써 부인하고 있다.

물 부족, 에너지빈곤, 식량위기를 외쳐도 돈 주고 사오면 된다는 식이다. 정치권이 그렇게 유도했고, 전문가들은 침묵했고, 언론은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다.

기후변화와 지속가능한발전(SDGs)에 대해 거의 매주 1회 이상 서울 등지에서 관련 세미나, 콘퍼런스가 진행되고 있다. 안타까운 것은 여전히 국민의 관심도 부족하고, 정부의 진정성 있는 대응 노력도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미세먼지 문제가 불거지면서 기후변화와 환경에 다시 관심이 일긴 했지만, 상황이 조금만 나아져도 반응은 달라질 수 있다.

대한민국이 집약적인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뤘지만 시민정신이 뿌리내리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권리와 복지는 주장하지만, 책임과 의무에는 등을 돌린다.

기후변화는 우리가 과거 그리고 현재 누리고 있는 복지의 부산물이다. 모두가 함께 만들어낸 이슈들에 대해 비난과 공격을 이어가지만, 책임과 공론화, 사회적 합의 등에는 인색하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시민사회가 자발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