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원 기자 = 최근 주민 건강증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공원이나 등산로 등에 야외 운동기구를 많이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시설의 경우 설치장소가 부적절하고 기구가 고장·파손된 채 방치돼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야외 운동기구는 설치 및 안전기준이 없기 때문

에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3~2015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야외 운동기구 관련 위해사례는 총 53건으로 매년 증가추세다.

연령별로는 ‘만 10세 미만’의 어린이가 39건(73.5%)으로 가장 많았고 ‘10대’ 5건(9.4%), ‘60대’와 ‘70대’가 각각 3건(5.7%)으로 ‘10대 이하 및 60대 이상’의 연령층이 대다수(94.3%)를 차지했다.

사고원인은 ‘부딪힘’이 22건(41.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미끄러짐·넘어짐’ 15건(28.3%), ‘눌림·끼임’ 8건(15.1%), ‘추락’ 7건(13.2%) 등의 순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이 야외 운동기구가 설치된 전국 체력단련시설 50곳을 조사한 결과 총 7곳(14.0%)이 낭떠러지 인근이나 경사가 가파른 산비탈에 기구가 설치돼 있는 등 설치장소가 적합하지 않았다.

낭떠러지 주변에는 울타리 등 추락방지시설이 전혀 없었고 거리가 50㎝에도 미치지 못한 곳에 기구가 설치된 곳도 있어 사소한 부주의에도 추락 위험이 높았다.

또한 기구 사이의 간격이 조밀하게 설치됐거나 주변에 나무 등이 있어 최소 운동공간이 확보되지 못한 곳이 34곳(68.0%), 지면에 주춧돌·나무뿌리 등 장애물이 있어 걸려 넘어질 우려가 있는 곳이 12곳(24.0%)으로 나타났다.

유럽의 ‘영구적으로 설치된 야외 운동기구의 안전요건 및 시험방법에 따르면 안전한 기구 이용을 위한 운동공간으로 신체 중심축 기준 직경 2m를 확보해야 하며, 다른 기구의 운동공간과 겹쳐서는 안 된다.

조사대상 50곳 중 28곳(56.0%)은 기구가 고장 또는 파손됐고 20곳(40.0%)은 기구의 고정이 불안정해 흔들리는 상태로 방치됐다. 또한 13곳(26.0%)은 기구 발판의 미끄럼 방지처리가 없거나 마모돼 이용 시 미끄러지거나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

야외 운동기구는 별도의 지도자 없이 누구나 이용하는 기구이므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기구 이용방법과 주의사항 등을 알아보기 쉽게 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중 20곳(40.0%)에 이용방법이나 주의사항 등의 정보가 표시되지 않았거나 훼손된 기구들이 있었다.

또한 기구 파손이나 사고 발생 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관리주체인 지방자치단체 및 제조자 표시가 미흡한 곳이 각각 21곳(42.0%), 18곳(36.0%)으로 확인됐다.

현재 야외 운동기구는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상 생활체육시설로 설치되고 있으나 안전과 관련한 시설기준과 관리기준은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조례 등의 자치법규를 마련한 지방자치단체는 243개 중 39개에 불과하다.

또한 실내용 헬스기구와 달리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의 안전관리대상으로 지정되지 않아 제품 안전기준도 없는 등 야외 운동기구의 전반적인 안전시스템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야외 운동기구의 제조·설치·관리 기준 마련 및 사후관리 강화를 관계 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